초록 |
생태계 내에서는 생명체에 의한 물질순환이 지속적으로 일어나기 때문에 이러한 일련의 과정이 차단된 조건 특히 시설재배지와 같은 폐쇄적인 시스템에서는 연작장해와 같은 복합적인 문제가 발생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데 있어 필수적인 생물학적인 평가방법을 얻고자 우리 나라 중부지역 주요 시설재배지의 토양을 채취하여 작물종류, 재배년수등의 요인이 토양 미생물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시설재배지의 토양전기전도도는 장미와 화훼재배지가 각각 $1.23dS ;m^{-1}$ 과 $1.32dS ;m^{-1}$ 으로 시금치 $3.59dS ;m^{-1}$ 와 참외 재배지 $3.46dS ;m^{-1}$ 인 원예작물 재배지보다 낮았다. 재배년수가 증가할수록 토양화학성중 유기물과 인산염의 함량이 증가하였다. 재배작물별 미생물서식밀도는 형광성 Pseudomonas 속이 배추, 상추 시금치 등의 엽채류 재배지에서 $40.7{ times}10^4{ sim}97.9{ times}10^4cfu ;g^{-1}$ , 딸기, 수박, 오이, 참외 등의 과채류 재배지에서 $25.0{ times}10^4{ sim}91.7{ times}10^4cfu ;g^{-1}$ 이었으나 장미와 화훼재배지는 $113.8{ times}10^4{ sim}129.7{ times}10^4cfu ;g^{-1}$ 으로 원예작물 재배지역에 비해 높았다. Fusarium속은 장미와 화훼재배지의 $3.8{ times}10^2{ sim}4.0{ times}10^2cfu ;g^{-1}$ 에 비해 엽채류 $4.3{ times}10^2{ sim}16.3{ times}10^2cfu ;g^{-1}$ , 과채류 $7.6{ times}10^2{ sim}30.0{ times}10^2cfu ;g^{-1}$ 으로 원예재배지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재배년수별 토양미생물수는 호기성세균, 중온성 Bacillus속, 고온성 Bacillus속 및 형광성 Pseudomonas속등이 11년 이상된 시설재배지에서 높았으나, 다양성 지수는 재배년수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토양 미생물체량인 Biomass 탄소는 호기성 세균, 방선균 및 중온성 Bacillus 속등의 미생물수와 정의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