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CAI, Fu,MING, Hui-qing,ZHU, Xin-yu,MI, Na,ZHAO, Xian-li,XIE, Yan-bing,ZHANG, Yu-shu |
초록 |
뿌리의 분포는 지표면 과정 모델의 근계 흡수과정을 시뮬레이션하는 중요한 파라미터이며, 뿌리 분포의 정확한 반영은 물과 열 유동량의 시뮬레이션을 개선할 수 있다. 기존 연구 중의 다양한 발육 단계별 옥수수(maize) 뿌리 바이오매스 실측 데이터를 이용하여, 주요한 지표면 과정 모델에 자주 이용되는, 각각 Schenk, Zeng, Jackson에 의해 구축된 3가지 뿌리 분포 파라미터화 방안(각각 M1, M2, M3으로 정의함)의 시뮬레이션 정확도를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M2와 M3의 시뮬레이션 정확도는 거의 일치하였으며,옥수수 출사기 이후에만 비교적 높은 시뮬레이션 정확도를 갖고 있었다. 그러나 옥수수의 다양한 발육 단계별 뿌리의 분포에 대한 M1의 시뮬레이션 정확도는 비교적 높았으며, 3가지 방안에서 최적의 방안으로 꼽히었다. M1 방안에서의 옥수수의 다양한 발육 단계별 d 50 과 d 95 (누적 뿌리 비율이 각각 50%과 95%인 토양층 깊이) 등 2개 파라미터 피팅값을 분석한 결과, d 95 값은 옥수수의 생장과 더불어 점차 증가하였으며, 변이성은 마디단계와 성숙기에 가장 크고 출사기에 가장 작았다. d 50 값은 유도부 열림 단계(flare opening stage) 이전에 생장과 더불어 증가하였으며, 출사기 이후 안정적인 추세를 보였다. d 50 과 d 95 값은 유도부 열림 단계 이전에 기존의 모델 설정값과 가장 큰 차이를 갖고 있으므로지표면 과정의 시뮬레이션 오차를 초래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