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Effects of maize plants on the redistribution of water under simulated rainfall conditions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生態學報 = Acta ecologica sinica
ISSN 1000-0933,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MA, Bo,LI, Zhan-bin,MA, Fan,WU, Fa-qi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5-01-01
초록 옥수수(Zeamays)의 다양한 생장 단계별 수관 통과(throughfall), 수간 유하(stemflow)와 수관 차단 저류(interception storage) 등을 체계적으로 측정하고자, 실내 인공 강우법을 이용하여 다양한 강우 강도, 다양한 엽면적 지수에 따른 옥수수의 수관 통과와 수간 유하를 측정하고, 분무법을 이용하여 옥수수의 다양한 생장 단계별 수관 차단 저류를 측정하였다. 정량화 분석을 통하여, 삼자와 옥수수 엽면적 지수 및 강우 강도의 관계를 연구하고, 옥수수 수관 통과의 공간 분포 특성을 규명하였다. 연구 결과, 옥수수 수관 통과량은 수관 총 강우량의 30.97%-94.02%를 차지하였으며, 평균 63.92%였다. 수간 유하량이 강우량에서 차지하는 비율의 변화 범위는 5.68%-75.70%, 평균 35.28%였다. 전체 생육기 내 수관 차단 저류량의 변화 범위는 0.02-0.43mm, 평균 0.16mm였으며, 총 강우량에서 차지하는 비율의 최대치는 1%밖에 안되었다. 옥수수의 생장과 더불어 수관 통과량이 점차 감소하고 수간 유하량과 수관 차단 저류량이 점차 증가하였다. 수관 통과와 수간 유하는 상반되는 변화 추세를 나타냈다. 즉 수관 통과율은 평균 93.55%에서 36.23%로 감소하였으나, 수간 유하율은 5.98%에서 70.42%로 증가하였다. 강우 강도는 수관 통과량 및 수간 유하량과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나, 양자가 총 강우량에서 차지하는 비율과 강우 강도의 관계는 뚜렷하지 않았다(P gt;0.05). 옥수수의 생장, 수관 통과의 공간 분포는 균일한 상태에서 점차 비균일한 상태로 전환되었는데, 이로 인하여 강우는 수관 통과 후 줄(rows) 사이 부분에 집중되었으나, 옥수수 생장 후기에 줄 사이 부분에 집중된 수관 통과량도 잎의 노화와 더불어 감소하였다. 옥수수의 강우 재분배 작용을 제시함으로써, 농경지 수분의 효과적인 이용, 농경지 생태수문 과정의 메커니즘과 비탈진 농경지 토양 침식의 방제에 이론적 근거를 제공하였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47042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corn,stemflow,throughfall,interception storage,rainfall intensity,옥수수,수간 유하,수관 통과,수관 차단 저류,강우 강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