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NK FACIES FROM THE UPPER ORDOVICIAN LIANGLITAG FORMATION IN THE CENTRAL TARIM OIL FIELD, NW CHINA
기관명 | NDSL |
---|---|
저널명 | 微體古生物學報 = Acta micropalaeontologica Sinica |
ISSN | 1000-0674, |
ISBN |
저자(한글) | ZHANG, Yuan-yuan,WANG, Jian-po,LI, Yue |
---|---|
저자(영문) | |
소속기관 | |
소속기관(영문) | |
출판인 | |
간행물 번호 | |
발행연도 | 2015-01-01 |
초록 | 타림판 중앙(Central Tarim Platform) 시추정 오르도비스통 상부 카이디(Katian)절 량리타거(Lianglitag)층의 퇴적 서열은 탄산염암 대지 암초-모래톱 복합체 회암으로 구성되었다. 이는 후기 오르도비스기는 높은 생물다양성에서 형성된 난수성 천해 생태 조합이라는 것을 설명한다. 모래톱상(bank facies) 회암의 과립 구성에 근거하여 생물 쇄설암 위주, 생물 쇄설암-내부 쇄설암 혼합, 내부 쇄설암 위주의 3대 유형으로 2차 분할하였다. 이중 미크라이트질 충진(micritic filling) 및 스파질 방해석(sparry calcite)의 혼합적인 교질(cementation)은 동시에 존재하였다. 일부 모래톱상은 암초상 단위의 근원 퇴적이었지만, 대부분 모래톱상은 내부 쇄설암과 생물 쇄설암이 각종 영향의 개조를 거쳐 다양한 비율로 혼합되어 독립적으로 형성된 것이었다. 모래톱의 과립 입경은 일반적으로 mm급 이하였다. 적은 수의 온콜라이트(oncolite)와 산호 등 과립만이 자갈급에 속하였다. 이러한 모래톱은 대부분 최대 폭풍 파랑 기저면(wave-base) 위 깊이에 퇴적되었다. |
원문URL |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46837 |
첨부파일 |
과학기술표준분류 | |
---|---|
ICT 기술분류 | |
DDC 분류 | |
주제어 (키워드) | Bank facies,Lianglitag Formation,Upper Ordovician,Central Tarim Block,Tarim Block,Xinjiang,모래톱상 회암,량리타거층,오르도비스통 상부,타림판 중앙,타림판,신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