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RMOHALINE CHARACTERISTICS OF MESOSCALE EDDY IN UPPER WATER OF PARECE VELA BASIN IN WINTER 2003
기관명 | NDSL |
---|---|
저널명 | 海洋與湖沼 = Oceanologia et limnologia Sinica |
ISSN | 0029-814x, |
ISBN |
저자(한글) | GAO, Wei,WANG, Zhen-yan,YIN, Meng-shan |
---|---|
저자(영문) | |
소속기관 | |
소속기관(영문) | |
출판인 | |
간행물 번호 | |
발행연도 | 2015-01-01 |
초록 | 본 논문에서는 2003년 겨울철, 중국과학원 해양연구소 '과학1호' 고찰선이 파레스 벨라 분지에서 확보한 CTD 조사 자료와 같은 시간에 위성고도계로 관측한 북서태평양 해역의 해수면 자료를 이용하여 해당 해역 상층수의 온도 및 염도 특성 및 중간 규모 소용돌이 활동의 영향 등에 대해 분석하고 논의하였다. 그 결과, 조사 기간 동안, 연구 해역에서 냉수성 및 난수성 소용돌이 활동 과정이 동시에 나타났으며 그 영향 깊이는 모두 수심 200m 이상이었다. 냉수성 소용돌이의 활동 위치는 연구 해역 내 136°-138°E 사이의 해역이었으며, 동북 방향으로 향해 뻗어나갔다. 냉수성 소용돌이 해수의 염도는 주위 해수에서보다 100m 이내에서 더 높았지만 150m보다 깊은 수심층에서는 주위 해수보다 낮았다. 난수성 소용돌이의 활동 해역은 138.5°-139°E 사이였으며, 난수성 소용돌이 활동 특성은 50m 이내의 수심층에서 뚜렷하지 않았다. 그 해수 염도는 100m 이상의 수심층에서 저염도 중심으로 나타나기 시작하였으며 150m 이상의 수심층에 이르러 점차 고염도 중심으로 전환되었다. 연구 해역의 중간 규모 소용돌이는 80m 이내의 수심층에서 동남 방향으로 유동하는 아열대 반류의 영향을 받았지만, 80m 이상의 수심층에서는 서쪽 방향으로 유동하는 북적도해류의 통제를 받았다. |
원문URL |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44692 |
첨부파일 |
과학기술표준분류 | |
---|---|
ICT 기술분류 | |
DDC 분류 | |
주제어 (키워드) | Parece Vela Basin,upper water,mesoscale eddy,temperature,salinity,파레스 벨라 분지,상층수,중간 규모 소용돌이,온도,염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