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GONG, Xue-wen,LI, Xian-yue,SHI, Hai-bin,TIAN, De-long,LI, Zhen,PENG, Zun-yuan |
초록 |
토양의 열수 상태는 작물의 생장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이다. 멀칭 점적관개(mulched drip irrigation) 및 간작(interplanting)의 이중 효과를 배경으로, 토마토(tomato), 옥수수(maize) 간작 농경지에 높은 수준(토마토: 180 mm, 옥수수: 270 mm), 중간 수준(토마토: 132 mm, 옥수수: 202.5 mm), 낮은 수준(토마토: 84 mm, 135 mm) 등 3가지 수준의 다양한 관개 기준량을 설정한 후, 고정위치 관측법을 이용하여 토마토 멀칭 필름 사이의 민둥땅(A), 멀칭한 토마토의 이랑과 이랑 사이(B), 토마토 멀칭 필름과 옥수수 멀칭 필름 사이의 민둥땅(C), 멀칭한 옥수수의 이랑과 이랑 사이(D) 등 4개 위치의 다양한 깊이별 원뿌리 부분의 함수율과 지중 온도의 동적 변화를 측정하였으며, 플라스틱 멀칭, 토양 수분 및 작물 차광이 간작 농경지의 다양한 이랑 사이, 다양한 깊이별 토양 온도에 미치는 영향 특성을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전체 생육기 내 4개 수평 위치의 지중 온도는 토양 깊이와 연관이 있었으며, 깊이가 10 cm 이상인 곳의 지중 온도는 C gt;D gt;A gt;B, 10cm 이하인 곳의 지중 온도는 D gt;B gt;A gt;C였다. 토양 온도장의 분포 상태로부터 볼 때, 지중 온도의 최대 변화폭은 c곳에서 나타났으며, 8.10℃였다. 최소 변화폭은 B곳에서 나타났으며, 4.71℃였다. 함수율과 지중 온도의 관계: 깊이가 5 cm 이상인 곳의 지중 온도와 함수율은 반비례 관계를 갖고 있었으며, 깊이가 20 cm 이하인 곳의 지중 온도와 함수율은 정비례 관계를 갖고 있었다. 이로부터 멀칭 점적관개 간작 농경지의 적당한 토양 수분 상태는 뿌리 부위 수열의 형성에 도움이 되었으며, 이는 또 작물의 생장에 유리하였다. 연구 결과는 중국 서북지역 점적관개 농경지의 관리를 위하여 일정한 참고적 정보를 제공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