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Niches and following performance evaluation of arthropod populations under the barks of dead pine trees caused by Bursaphelenchus xylophilus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生態學雜志 = Chinese journal of ecology
ISSN 1000-4890,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CAO, Dan-dan,JI, Bao-zhong,LIU, Shu-wen,CHEN, Xiao-ming,ZHANG, Xin-wei,YANG, Jin-jin,LIU, Jia-jia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3-01-01
초록 상대 우점도(relative dominance), Levins 생태적 지위폭(Levins niche width), Pianka 생태적 지위 중복 지수(Pianka niche overlap) 등 지표를 이용하여 중국 난징 쯔진산(Zijin Mountain, Nanjing, China)에서 소나무재선충으로 인하여 죽은 소나무(dead pine tree caused by Bursaphelenchus xylophilus) 껍질 중 절지동물 개체군(arthropod population)의 구조 및 생태적 지위(niche)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소나무재선충으로 인하여 죽은 소나무 껍질 중 절지동물 개체군은 3강 7목 17과 27종에 속하였다. 그 중에서 톡토기과(Poduridae), 반날개과(Staphylinidae), 집파리과(Muscidae), 나무좀과(Scolytidae)는 우점종(dominant species)이고, 발톱진드기과(Cheyletidae)와 하늘소과(Cerambycidae)는 풍부종(abundant species)이고, 침벌과(Bethylidae), Bothrideridae, 고치벌과(Braconidae), 바구미과(Curculionidae)는 일반종(common species)이고, 개미과(Formicidae), 밑빠진벌레과(Nitidulidae), 총채벌레과(Thripidae), 풍뎅이붙이과(Histeridae), 큰집게벌레과(Labiduridae), 방아벌레과(Elateridae), 개미붙이과(Cleridae)는 희귀종(rare species)이였다. 반날개과의 생태적 지위폭은 제일 크고, 또한 반날개과가 나무좀과, 하늘소과와의 시간, 공간, 시-공간 생태적 지위 중복 지수 및 생태적 지위 유사성 비율은 기타 종류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반날개과 해충과 주요 나무 해충(boring insect)은 공간과 시간에서 만나는 비율이 비교적 높으며, 또한 추적 현상(following performance)이 제일 뚜렷하다는 것을 설명한다. 본 연구는 매개 곤충(insect vector)들이 병원성 미생물을 갖고 있어서 나무 해충을 방제하는 분야에 대한 연구에 비교적 중요한 이론적 의미와 응용 가치가 있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69976791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dead pine tree caused by Bursaphelenchus xylophilus,arthropod population,niche,following relation,소나무재선충으로 인하여 죽은 소나무,절지동물 개체군,생태적 지위,추적 관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