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TIAN, Runwei,LU, Jiahui,LI, Xueyu,YU, Ying,XIE, Liangbi,QIN, Zhongli |
초록 |
감초속(Glycyrrhiza) 식물은 ldquo;9 + 1 rdquo;의 이체 수술(Diadelphous stamens)을 가지며, 그 중 9개 합생 수술의 상부 화사는 분리되었고, 분리된 화사는 발육 과정에서 초기에는 길고 짧음이 교차한 2조 배열 방식이고, 말기에는 가장 긴 1개 수술을 중심으로 양옆으로 점차 축소하는 거꾸로 된 ldquo;V rdquo;형 배열 방식을 형성한다. 이러한 수술 발육 동태, 분화 현상 및 성숙 후 적응의 중요성 등을 조사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감초(G. glabra)를 실험 소재로 수술 발육 과정에서의 형태 변화, 성숙한 화분의 물리 화학적 특성 및 수분과정에서의 작용을 비교하였다. 비교 결과, 수술 발육 초기에 길고 짧은 2조 수술은 꽃밥 크기와 형태상에서 분화가 존재하지만, 말기에는 화사의 빠른 생장과 화분의 성숙, 발산에 따라 꽃밥 크기와 형태가 거의 일치하다. 화분 조직의 화학적 성분 및 수분 성공률은 차이가 없지만, 성숙한 화분의 수량과 화분 활성은 차이가 있다. 웅성 제거 후, 방문곤충의 방문 빈도는 하락하였지만, 결실율은 자연 대조군보다 높았다. 이는 교잡을 위주로 하는 꽃의 수술을 제거하는 경우, 암술과 수술 간의 기능 교란을 낮추어 수분 곤충의 수분율을 제고한다는 것을 설명한다. 발육 초기의 길고 짧은 교차 배열의 2조 수술이 성숙기에 거꾸로 된 ldquo;V rdquo;형으로 전환하는 것은 서로 다른 수량과 활성의 화분이 꽃 내부의 상이한 공간에 분포되도록 하고, 방문 곤충 수량을 최대화함으로써 자원을 절약하고 수술의 웅성 적합도를 제고하였다. 즉, 제한된 공간 내에서 가장 경제적인 웅성 자원을 투입하고, 수분 공간과 수분 확률을 최대화함으로써 웅성 기능을 제고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