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K-release and weathering of muscovite by Cenococcum geophilum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微生物學報 = Acta microbiologica Sinica
ISSN 0001-6209,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PENG, Yun-xiang,SONG, Miao,Pedruzzi, Israel#,YU, Jian-guo,LI, Ping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5-01-01
초록 【목적】삼림 토양 내 칼륨을 함유한 규산염광물(K-bearing silicate mineral)의 이용률을 향상하고 나무의 칼륨 영양을 개선하고자, 외생 균근균에 의한백운모(muscovite) 광물의 칼륨 방출 및 풍화 효과를 연구한다. 【방법】칼륨 결핍조건에서, 5가지 외생 균근균(ectomycorrhizal fungi)과 백운모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3가지 일반 배지가 균주의 칼륨 방출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MMN(Modified Melin-Norkrans) 배지 조건에서, 칼륨 방출 효과가 가장 양호한 Cenococcum geophilum의 21일 침출과정의 주요한 무기성분 방출량, 바이오매스, 잔류 글루코오스량, 생성된 소분자 유기산 유형 및 함량, 균사-광물 미세환경의 변화를 더 한층 연구하였으며, 주사 전자 현미경을 이용하여 백운모의 풍화 흔적을 관찰하였다. 【결과】배지는 다양한 외생 균근균의 칼륨 방출 능력에 다양한 정도의 영향을 미쳤는데, 그 중 Cenococcum geophilum은 MMN 배지 조건에서 칼륨 방출 능력이 가장 강하였으며, 그 칼륨 방출량은 바이오매스, 잔류 글루코오스량, pH값과 뚜렷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Cenococcum geophilum은 균사-광물에 부착된 세포외 다당을 분비하여 균사-광물 미세환경을 형성하는데 도움이 되며, 유기산을 축적하여 미세환경 내 칼륨의 방출을 촉진한다. 균사는 백운모 표면에 부착하여 부식작용을 생성하며 또 광물을 파괴하여 그 내부에까지 침투한다. 【결론】외생 균근균은 백운모 풍화와 칼륨 방출을 촉진하는 능력을 갖고 있으며, 해당 능력은 균사, 유기산, 다당의 협력작용과 연관이 있을 수 있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4210701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ectomycorrhizal fungi,K-bearing silicate mineral,muscovite,K-release,weathering,Cenococcum geophilum,외생 균근균,칼륨 함유 규산염광물,백운모,칼륨 방출,풍화,Cenococcum geophil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