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st discriminates between probiotics and pathogens: impact of toll like receptor 5-flagellin interaction and evolution
기관명 | NDSL |
---|---|
저널명 | 微生物學通報 = Microbiology |
ISSN | 0253-2654, |
ISBN |
저자(한글) | LUO, Jia,LI, Wei,DUAN, Yun-feng,WANG, Li,JIN, Feng |
---|---|
저자(영문) | |
소속기관 | |
소속기관(영문) | |
출판인 | |
간행물 번호 | |
발행연도 | 2014-01-01 |
초록 | [목적] 대량적인 연구 결과를 통하여 유기체의 정상적인 면역 활동은 면역 시스템과 장내 세균총(intestinal flora) 사이의 상호작용에 많이 의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면역 시스템이 병원성 세균에 대해 면역제거를 진행하는 반면 활생균에 대해서는 내성을 가지고 있는 것을 구체적으로 보여준다. 그리고 면역 시스템의 톨 유사 수용체(Toll-like receptors, TLRs) 및 장내 세균총으로부터의 미생물 관련 분자 모델(Microorganism associated molecular patterns, MAMPs)은 숙주 면역 시스템이 병원성 세균과 활생균에 대한 구분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는 것으로 인식된다. TLRs가 MAMPs에 대한 식별은 선천성 면역 반응과 후천성 면역 반응을 활성화 할 수 있기 때문이다. TLRs가 MAMPs에 대한 식별 가운데 TLR5가 세균 플라젤린(Flagellin)에 대한 식별만은 단백질-단백질 상호작용에 기반하기 때문에 해당 결합 방식을 비교적으로 쉽게 연구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논문은 TLR5와 플라젤린의 상호작용이 숙주가 병원성 세균과 활생균을 구분하는 데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는 것을 주요 연구 목적으로 한다. [기법] 다양한 장내 세균(활생균과 병원성 세균 포함) 플라젤린의 계통발생수(phylogenetic tree)를 구축하였으며 플라젤린 TLR5의 식별 서열을 비교하였다. [결과] 병원성 세균과 활생균의 플라젤린 식별 서열은 서로 달랐다. 특히 TLR5가 결합하고 식별하는 플라젤린 위치는 더욱 달랐다. [결론] 병원성 세균과 활생균의 서로 다른 플라젤린 식별 구역은 세균 플라젤린이 TLR5 식별에 적응하여 생존하는 것으로 인한 결과일 것이다. 이를 기반으로 숙주는 병원성 세균과 활생균을 구분할 수 있다. 이 외에 상관 연구에 의하면 TLRs가 장내 상피세포에서의 분포는 기저(Basolateral)와 정점의 양극성을 갖고 있었다. 그리고 각각 병원성 세균의 면역 반응과 활생균의 면역 반응에 대한 내성을 일으켜 병원성 세균의 침입 감염을 방지하며 활생균과 평화롭게 공존하였다. 플라젤린과 TLR5 단백질의 상호작용은 장내 세균총과 면역 시스템이 분자 층면에의 상호작용과 공진화를 보여주며 숙주가 병원성 세균과 활생균을 구분하는 분자 메커니즘 중의 하나이다. |
원문URL |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37740 |
첨부파일 |
과학기술표준분류 | |
---|---|
ICT 기술분류 | |
DDC 분류 | |
주제어 (키워드) | Host-flora crosstalk,Flagellin,Toll-like receptor 5,Phylogenetic tree,Sequence alignment,숙주-장내 세균총 상호작용,플라젤린,톨 유사 수용체 5,계통발생수,단백질 서열 비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