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Peptidoglycan recognition proteins(PGRPs) in insects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昆蟲學報 = Acta entomologica Sinica
ISSN 0454-6296,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CHEN, Kang-kang,LV, Zhi-qiang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4-01-01
초록 척추동물과 비척추동물에서 구분 없이 식별할 수 있는 것은 첫 번째 단계로 선천성 면역반응(innate immune response)에서 알 수 있다. 펩티도글리칸(peptidoglycan)은 세균 세포벽의 필수 성분이고, 진화에서 보호하고 지키키 위한 미생물 표면 병원균-연관 분자 패턴(pathogen-associated molecular pattern, PAMP)에 속하며 펩티도글리칸 인식 단백질(peptidoglycan recognition proteins, PGRPs)과 같은 패턴 인식 단백질에 의해 구별된다. 곤충의 선천적 면역 시스템에서 일부 PGRPs는 세균 고유의 펩티도글리칸을 이용하여 침입한 세균을 인식하고 세균 침입 신호를 하위 항균 펩타이드(antimicrobial peptide, AMP) 합성 경로에 전달하여 항균 펩타이드 유전자의 전사 및 합성을 유도한다. PGRPs의 펩티도글리칸 인식은 프로페놀옥시다아제(prophenoloxidase, PPO) 경로의 활성화를 유도하며 흑화반응(melanization)을 일으킨다. 일부 아미다아제 활성이 있는 PGRPs는 식세포 작용(phagocytosis)을 촉진할 수 있고 또 다른 일부 PGRPs는 항균 펩타이드 합성을 억제함으로써 과도한 면역 반응에 의한 손상을 약화시킨다. 또 다른 일부 PGRPs는 효과인자(effectors)로서 세균에 직접적으로 작용하여 세균을 죽인다. 본 논문은 주로 곤충 PGRPs의 인식 수용체(recognition receptor)의 역할, 조절자(regulator)의 역할, 효과인자(effector)의 역할을 종합 서술하였고 현재 PGRPs 연구에서 밝혀지지 않은 문제와 미래 연구 방향을 분석하였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1475500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Insects,innate immunity,peptidoglycan,pathogen-associated molecular pattern,peptidoglycan recognition protein,곤충,선천성 면역,펩티도글리칸,병원균 연관 분자 패턴,펩티도글리칸 인식 단백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