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Phytoplankton Community Succession and Its Relation to Abiotic Parameters During Blooming Period in Xiamen Sea,China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應用與環境生物學報 = Chinese journal of applied and environmental biology
ISSN 1006-687x,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LIN, Geng-ming,XIANG, Peng,YANG, Qing-liang,LIN, Wei-han,WANG, Yu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3-01-01
초록 2000년 6월부터 7월까지 중국 샤먼(Xiamen) 해역의 11개 관측기지에서 적조 관측을 진행하였으며, 6월 28-29일에 서해역에서 Chaetoceros socialis와 Chromulina sp. 녹조(algal bloom)가 발생하였다. 표층 식물성 플랑크톤의 샘플과 동기 관측한 물리 및 화학적 매개변수에 대하여 다변량 분석(multivariate analysis)을 진행하여 식물성 플랑크톤 군락의 전이와 녹조 메커니즘을 밝혔다. 클러스터 분석 결과, 식물성 플랑크톤 군집은 녹조 과정과 관련되는 3개의 군집으로 나눌 수 있었는데, 군집 I는 물교환 조건이 부족한 반폐쇄형 서해역에 위치하여 있었고, 주로 나노 식물성 플랑크톤(nano-phytoplankton)으로 이루어졌는데 이러한 적조 원인종은 적조가 발생할 때 급격히 증가하였다. 군집 II는 지우룽장(Jiulong River) 희석수 영향이 비교적 직접적인 외항에 위치하여 있었고, 주로 저염의 소형 식물성 플랑크톤으로 이루어졌다. 군집 III는 외해 바닷물의 영향이 비교적 큰 동북부에 위치하여 있었는데, 주로 대규모의 소형 식물성 플랑크톤으로 이루어졌다. 주성분 분석 결과, 식물성 플랑크톤의 세포 풍도는 영양염 특히 암모니아 질소(ammonia-nitrogen) 함량과 밀접한 연관을 보였으며; 서해역 샘플 인자의 부하가 비교적 크다는 것은 해당 해역의 부영양화 정도가 외항 및 동부 해역보다 심각하다는 것을 의미하였다. 강우는 이번 녹조의 유발 요인으로서 그로 인한 온도 저하는 온난성 skeletonema costatum의 번식을 억제하고, 한랭성 Chaetoceros socialis의 왕성한 생장을 촉진하였다. 따라서 강우로 인한 유기 오염은 녹조의 내적 원인이었다. 이외에 논문에서는 또 식물성 플랑크톤 녹조종(bloom species)의 소형화와 영양염 구조 사이의 관계를 토의하였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66475559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phytoplankton,community succession,blooming mechanism,red-tide,multivariate analysis,Xiamen Sea,식물성 플랑크톤,군락 천이,녹조 메커니즘,적조,다변량 분석,샤먼 해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