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Effects of continuous application of bio-organic fertilizer on banana production and cultural microflora of bulk soil in orchard with serious disease incidence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應用生態學報 = Chinese journal of applied ecology
ISSN 1001-9332,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ZHONG, Shu-tang,SHEN, Zong-zhuan,SUN, Yi-fei,LV, Na-na,RUAN, Yun-ze,LI, Rong,SHEN, Qi-rong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5-01-01
초록 본 논문에서는 연속 12년 바나나를 재배한 시들음병 발생률이 높은 바나나 재배원을 실험 거점으로 선정한 다음, 평판 계수 및 배양 가능한 미생물 군집 변성 구배 겔 전기영동(culture-dependent polymerase chain reaction 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CD PCR-DGGE) 등 방법을 통하여 현지의 재배밭 조건에서 연속 2년 화학비료, 우분, 돈분 및 바이오 유기비료 등의 시용이 바나나 시들음병에 대한 억제 작용, 그리고 바나나 수확량, 품질 및 토양 배양 가능한 미생물상 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그 결과, 기타 처리에 비하여, 2년 동안 바이오 유기비료의 연속 시용은 바나나 시들음병의 발생률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반면, 바나나의 단일 그루 당 질량, 소시험구 수확량, 과실의 가용성 당 함량 및 가용성 당/적정산의 비율(당산비)을 뚜렷하게 향상시킬 수 있었다. 배양 가능한 미생물상을 분석한 결과, 바이오 유기비료의 시용은 토양 미생물 바이오매스를 뚜렷하게 향상시킬 수 있는 외, 배양 가능한 세균, 바실루스균과 방선균의 수 및 세균/진균 비율을 증가시키는 반면, 세균수를 감소시켰다. CD PCR-DGGE 클러스터 분석 결과, 2년 동안 바이오 유기비료의 연속 시용은 토양 내 배양 가능한 세균 군집의 구조를 뚜렷하게 변화시켰으며 또한 그 풍부도 및 다양성을 증가시켰다. 겔로 추출하여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바나나 재배원에서 연속 2년 동안 바이오 유기비료의 시용은 토양 내 패니바실러스, 버크홀데리아, 미배양 우미균 및 Bacillus aryabhattai의 풍부도를 증가시킨 반면, 랄스토니아 솔라나세아룸, Chryseobacterium gleum, Fluviicola taffensis, Enterobacter sp. 및 바실러스 메가테리움의 풍부도를 감소시켰다. 결론적으로, 바나나 재배원에서 바이오 유기비료의 연속 시용은 토양 내 배양 가능한 미생물 군집의 구조를 최적화할 수 있으며 또한 바나나 시들음병의 발생을 방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바나나의 수확량 및 과실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4184500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bio-organic fertilizer,banana fusarium wilt disease,crop yield,fruit quality,culturable microflora,바이오 유기비료,바나나 시들음병,수확량,품질,배양 가능한 미생물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