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SEASONAL CHANGE OF ZOOPLANKTON COMMUNITIES AND ITS RELATIONSHIP WITH AQUATIC ENVIRONMENTS IN THE YONGJIANG RIVER, NINGBO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水生生物學報 = Acta hydrobiologica Sinica
ISSN 1000-3207,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LI, Gong-guo,BAO, Wei-hong,XU, Shi-lin,WANG, Yan,TAN, Da-peng,HUANG, Ping-sha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5-01-01
초록 본 논문은 2011년 3월~2012년 2월 사이에 중국 융장강(Yongjiang River) 주류 13개 단면의 물 샘플(water samples)을 수집하여 중국국가표준을 근거로 9종 이화학적 지표(Physical and chemical index)를 측정하였으며, 또한 동물플랑크톤(zooplankton)에 대한 정성 및 정량 방법을 이용하여 동물플랑크톤의 군집 구조(community structure) 특성과 계절적 변화를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동물플랑크톤을 모두 95종 발견하였는데 그 가운데는 윤충류(Rotifers) 24속 72종, 지각류(Cladocera) 5속 10종, 요각류(Copepoda) 11속 13종과 기타 종류에 속하는 무척추 동물 유충 4종이 있었다. 우점종은 주로 윤충류 동물의 완미윤충 속(Brachionus)과 거북등윤충 속(Keratella)에서 근원하였는데 완미유충 속 동물플랑크톤이 총 풍부도(abundance)의 22.1%를 차지하였고, 거북등윤충 속 동물플랑크톤이 총 풍부도의 20.2%를 차지하였다. 동물플랑크톤의 풍부도 값은 융장강의 각 구간에서 뚜렷한 계절적 변화가 있었는데 단면 1로부터 단면6에서 최대값이 봄철에 나타났고, 단면 7로부터 단면 13에서 최대값으로 여름철에 나타났으며, 전체 주류의 최대치는 단면 5(3,160 ind./L)에서 나타났다. 동물플랑크톤 군집의 생물 다양성 지수는 상류 구간이 낮고, 중류, 하류 구간이 높은 현상이 나타났는데 해당 결과를 중간교란가설(Intermediate disturbance hypothesis)로 해석할 수 있었다. Two-way ANOSIM 유사성 분석 및 Bray-Curtis 유사성 등급 군집 분석을 진행한 결과, 서로 다른 단면에서 서로 다른 계절의 동물플랑크톤 군집 사이에는 뚜렷한 차이가 존재하였는데 각각 R=0.264, P=0.1%와 R=0.234, P=0.1%였으며, 또한 계절적 차이는 단면 사이 차이에 비하여 컸다. 계절적 차이 가운데서 봄철과 여름철 사이의 차이성이 가장 컸다. 주성분 분석(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결과, 서로 다른 단면의 동물플랑크톤 군집에 대하여 작용을 일으키는 이화학적 요인(physiochemical factor) 크기 순서는 COD Cr , TN, DO, BOD 5 이었고, 서로 다른 계절의 동물플랑크톤 군집에 대하여 작용을 일으키는 이화학적 요인 크기 순서는 pH, TN/TP, 염도(salinity), 수온이었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42216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Zooplankton,Community structure,Physiochemical factor,Similarity analysis,Principal component analysis,Yongjiang River,동물플랑크톤,군집 구조,이화학적 요인,유사성 분석,주성분 분석,융장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