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Assemblage composition and distribution of meiofauna in the southern Yellow Sea cold water mass during summer and autumn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應用生態學報 = Chinese journal of applied ecology
ISSN 1001-9332,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XU, Man,LIU, Xiao-shou,LIU, Qing-he,HUANG, De-ming,YUAN, Zi-hao,ZHANG, Zhi-nan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5-01-01
초록 본 논문에서는 남황해 냉수괴가 소형 저서동물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기 위하여, 2013년 6월 및 11월 각각 '둥팡훙 2호' 과학고찰선에 탑승하여 남황해 냉수괴 해역의 8개 위치에 따르는 소형 저서동물의 군집 구성, 풍부도, 바이오매스 및 환경 인자와의 상관성을 연구하였다. 그 결과, 2차례의 항해 조사에서 소형 저서동물의 평균 풍부도는 각각 900.8 및 758.4ind·10cm -2 이었으며, 평균 바이오매스는 각각 886.9 및 615.7μg·10cm -2 이었다. 분산 분석 결과, 2개 계절의 8개 위치에서 소형 저서동물의 풍부도 및 바이오매스는 모두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두차례의 항해 조사에서 전부 17개의 소형 저서동물 군집이 검출되었으며 그중 최우점종은 자유생물 해양선충이었으며 각각 총 풍부도의 88.5% 및 94.0%를 차지하였다. 기타 수적인 면에서 비교적 중요한 군집에는 저서성 요각류, 다모류, 동문류 및 개형류 등도 있었다. 두차례 항해 조사에서 92.5% 및 95.4%의 소형 저서동물은 0~5cm의 표층 퇴적물 내에 분포되어 있었으며 0~2cm의 표층 퇴적물 내에서 선충 및 요각류의 비율은 각각 59.1% 및 78.2%였다. 소형 저서동물의 풍부도 및 바이오매스, 선충 및 요각류의 풍부도와 그 퇴적 환경 인자와의 상관성을 분석한 결과, 소형 저서동물의 풍부도 및 바이오매스는 저층수 온도 및 실트-점토 함량과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그중 주요 군집 선충의 풍부도는 저층수 온도 및 실트-점토 함량과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기타 주요 군집 요각류의 풍부도는 저층수 온도, 실트-점토 함량과 부적 상관관계, 중간 크기 입경과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소형 저서동물의 군집 구성과 환경 인자와의 BIOENV 상관성 분석 결과, 소형 저서동물 군집은 저층수 온도, 저층수 염도, 퇴적물 함수량, 퇴적물 엽록소 a 및 페오피틴 함량의 종합적 영향을 받았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4184481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meiofauna,free-living marine nematodes,abundance,biomass,Yellow Sea coldwater mass,southern Yellow Sea,소형 저서동물,자유생활성 해양선충,풍부도,바이오매스,황해 냉수괴,남황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