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본 논문은 간단하게 설계한 혐기성 세균(anaerobic bacteria) 배양 방법을 검증하기 위해 중국 칭다오(Qingdao) 조간대 퇴적물(Intertidal sediment)을 연구 대상으로 하고, 5가지 배지를 이용하여 칭다오 조간대 퇴적물에서 모두 138주의 혐기성 세균을 분리하여 얻었다. 16S rDNA 서열 분석 결과, 해당 세균은 각각 3개 문 15개 속 32개 종에 속하였는데 그 가운데서 64주의 18개 종 균주가 γ-프로테오박테리아강(γ-Proteobacteria)에 속하였고, 종류에서 지배적 지위를 차지하였다. 그리고 16주의 2개 종 균주가 δ-프로테오박테리아강(δ-Proteobacteria)에 속하였고, 4주의 1개 종 균주가 ε-프로테오박테리아강(ε-Proteobacteria)에 속하였으며, 29주의 8개 종 균주가 박테로이데테스문(Bacteroidetes)에 속하였고, 25주의 3개 종 균주가 푸소박테리움균문(Fusobacteria)에 속하였다. 세균의 속을 분석한 결과, 비브리오속(Vibrio), Marinifilum속, Ilyobacter속, 디설포비브리오속(Desulfovibrio), Shewanella속 수량이 지배적 지위를 차지하였다. 그리고 26주의 8종 세균(총 균주 수량의18.84% 차지)과 이미 알려진 균주의 상동성이 89.38%~94.22% 사이였고, 해당 세균은 잠재적인 해양 세균의 새로운 과 혹은 새로운 속이었다. 이것은 간단한 혐기성 세균 배양 방법이 새로운 균주를 획득하는 측면에서 비교적 큰 우위가 있다는 것을 설명한다. 연구 결과는 또한 서로 다른 배지는 특정된 개체군에 대하여 선택성이 있다는 것을 설명한다. 2216E 배지는 γ-프로테오박테리아강에 대한 분리 배양 효과가 비교적 높았으며, SPG 배지는 새로운 균주를 획득하는 측면에서 우위가 있었고(새로운 균주 수량의 62.5% 차지), 또한 이 새로운 균주는 대부분 박테로이데테스문과 푸소박테리움균문에 속하였으며, 그 가운데 SPG-1 배지는 황산염환원세균(sulfate reducing bacteria)과 배양하기 어려운 ε-프로테오박테리아강 세균에 대하여 우위가 있었고, SPG-4 배지는 질산염환원세균(nitrate reducing bacteria)에 대하여 우위가 있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