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Argo 자료에서 제공한 대표적인 서태평양 겨울철 냉수성 소용돌이를 환경 배경으로 하고 BELLHOP 가우스 빔 모델(Gaussian beam model)을 응용하여 음장(Sound filed)을 계산하였다. 환경 수준이 변하지 않는 경우와 변하는 경우의 음장 차이에 대한 비교를 통해, 소용돌이 환경과 지형 변화의 공동 영향 하에서 수렴대(convergence zone, CZ)에 발생한 일부 비정상 특징을 연구하였다. 분석 결과, 심해의 평탄한 지형 조건에서 소용돌이 서쪽 측면 음장의 수렴대가 완전성을 유지하였고, 소용돌이 외부에서 내부로 전파될 때 수렴대 거리가 점점 작아졌다. 그러나 소용돌이 내부에서 외부로 전파될 때 수렴대 거리는 증가하였고 소용돌이 중심 부근의 냉수성 용승(Upwelling)이 가까운 표층의 음파 채널(Sound Channel)을 파괴하여 음향 전파 손실이 갑자기 증가하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소용돌이 동쪽 측면의 해저산(seamount) 지형은 수렴대의 역회전(Counter rotating)을 저애하였다. 따라서 수렴대의 절단, 위쪽 역회전점의 상승 혹은 하강, 음선(sound ray)의 다경로 전파 및 효익 증가 위치의 불규칙 변화 등 음장의 복잡한 비정상 특징이 발생했다. 이런 음장의 비정상 특징은 서태평양의 배경 환경, 소용돌이의 수문 비대칭 분포 및 지형 변화 등의 공동 작용 때문에 초래된 것이다. 지형 변화가 수렴대의 역회전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때, 음장의 변화는 주로 소용돌이 피크 양측의 수문 환경 차이에 의한 영향을 받는다. 대표적인 특징은 수렴대가 약간 이동하고 표면의 음파 채널이 소실되는 것이다; 지형 변화가 수렴대의 역회전을 크게 간섭할 때, 지형 조건이 음장 에너지의 분포에 대해 주도적 작용을 했고 균일하지 않은 수문 환경은 그 미치는 영향이 약화되었다. 그러나 여전히 큰 제어 작용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