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본 연구는 지방축적이 유도된 HepG2 세포를 이용하여 용아초 EtOAc 분획물의 지방축적억제 효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Oleic acid를 HepG2 세포에 처리하여 지방의 축적을 유도하였으며, 용아초 EtOAc 분획물 25, 50, 100 #x338D;/ #x3396;을 처리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용아초 EtOAc 분획물은 100 #x338D;/ #x3396;의 농도에서 HepG2 세포의 지방축적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으며, 이 효능의 기전을 확인하기 위하여 지질관련 유전자인 PPAR- #x3B1;와 PPAR- #x3B3;의 발현을 확인하였다. 용아초 EtOAc 분획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25, 50, 100 #x338D;/ #x3396;) PPAR- #x3B1;의 발현을 증가시켰으며, PPAR- #x3B3;는 억제함으로써 지질관련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하였다. 따라서 용아초 EtOAc 분획물의 지방축적억제 효능은 지방 생성의 주요 인자로 알려진 PPAR- #x3B1;와 PPAR- #x3B3;의 유전자 발현을 통해 작용하는 것으로 보이며, 비교적 저농도인 100 #x338D;/ #x3396;에서 효과적으로 지방축적억제 효능을 나타내었으므로 용아초 EtOAc 분획물은 비알콜성 지방간의 위해성을 경감하기 위한 후보물질로서 적합할 것으로 사료되며, 향후 활성성분 규명 및 명확한 작용기전 규명을 통하여 식품, 의약품의 원료에 대한 가능성을 확인할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