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Effects of pyrolysis temperature and duration time on pH, carbon and nitrogen contents of biochars produced from three crop residues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生態學雜志 = Chinese journal of ecology
ISSN 1000-4890,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ZHANG, Qian-feng,MENG, Jun,LIU, Ju-dong,WANG, Guang-hua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3-01-01
초록 생물활성탄(biochar)의 물리화학적 성질(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은 주로 기질재료(matrix materials)와 열분해(pyrolysis) 조건에 의하여 결정된다. 본 실험은 옥수수 속대(corn cob), 콩대(soybean stalk)와 쌀겨(rice husk)를 재료로 하고, 머플가마(muffle furnace)를 열분해 시설로하여 열분해 온도(300, 350, 400, 450, 500와 550 ℃)와 열분해 시간(3, 6와 9시간)이 생물활성탄의 생산량, pH 및 탄소(carbon,C)와 질소(nitrogen, N)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열분해 온도의 증가와 열분해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생물활성탄소의 생산량은 감소되었지만 pH값은 증가되었다. 그리고 옥수수 속대 생물활성탄과 콩대 생물활성탄 중 탄소함량은 열분해 온도의 증가와 열분해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증가되었지만 쌀겨 생물활성탄 중 탄소함량은 변화가 크지 않았다. 또한 열분해 온도의 증가와 열분해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옥수수 속대 생물활성탄과 쌀겨 생물활성탄 중 질소함량의 변화는 일정한 규칙이 없었지만 콩대 생물활성탄 중 질소함량은 감소되는 추세인 것으로 나타났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69976697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biochar,corn cob,soybean stalk,rice husk,pyrolysis,carbon and nitrogen contents,생물활성탄,옥수수 속대,콩대,쌀겨,열분해,탄소와 질소 함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