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생물활성탄(biochar)의 물리화학적 성질(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은 주로 기질재료(matrix materials)와 열분해(pyrolysis) 조건에 의하여 결정된다. 본 실험은 옥수수 속대(corn cob), 콩대(soybean stalk)와 쌀겨(rice husk)를 재료로 하고, 머플가마(muffle furnace)를 열분해 시설로하여 열분해 온도(300, 350, 400, 450, 500와 550 ℃)와 열분해 시간(3, 6와 9시간)이 생물활성탄의 생산량, pH 및 탄소(carbon,C)와 질소(nitrogen, N)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열분해 온도의 증가와 열분해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생물활성탄소의 생산량은 감소되었지만 pH값은 증가되었다. 그리고 옥수수 속대 생물활성탄과 콩대 생물활성탄 중 탄소함량은 열분해 온도의 증가와 열분해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증가되었지만 쌀겨 생물활성탄 중 탄소함량은 변화가 크지 않았다. 또한 열분해 온도의 증가와 열분해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옥수수 속대 생물활성탄과 쌀겨 생물활성탄 중 질소함량의 변화는 일정한 규칙이 없었지만 콩대 생물활성탄 중 질소함량은 감소되는 추세인 것으로 나타났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