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Mao, Zhongliang,Zhang, Zhenchao,Yao, Yuemei,Dai, Zhongliang,Qin, Wenbin,Pan, Yueping |
초록 |
다섯 개의 서로 다른 유전자형 케일(kale, Brassica oleraceaL.var.acephala) 품종을 실험 재료로 고립된 소포자 배양을 진행하였으며 소포자 발육 시기와 꽃봉오리 형태의 관계, 유전자형이 소포자 배(embryogenesis) 발생율에 미치는 영향, 배아가 묘목이 되는 것 및 재생 식물체의 염색체 배가(chromosome doubling) 및 배수성 감정 등을 연구하였다. 그 결과, (1) 케일의 고립된 소포자 배양( isolated microspore culture) 에 적합한 꽃봉오리 형태 지수는: 꽃봉오리 이 3.5~4.5mm, 꽃잎/꽃밥은 0.85~1.10 이었다. (2) 다섯 개의 실험 품종에서 lsquo;4105 rsquo; 배 발생율이 가장 높았으며 각 꽃봉오리에 2.45개였고 그 다음으로 lsquo;7341 rsquo;로 각 꽃봉오리에 2.18개, lsquo;7340 rsquo;과 lsquo;7348 rsquo;의 소포자 배 발생이 비교적 적었으며 각각 1.36과 0.51이었으며 lsquo;7342 rsquo;는 아직 배아가 발생하지 않았다. 150mg.L -1 콜히친으로 묘목의 뿌리 부분을 24시간 담근 후 유동 세포 분석법으로 식물체 배수성을 측정하여 이배체 배가율(doubling diploids)이 78.4%인 것을 발견하였으며 소포자 재생 식물체의 이용 효율을 크게 증가시켰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