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YAN, Jiaguo,QI, Zhanhui,TIAN, Ziyang,SHI, Rongjun,ZHANG, Hanhua,HUANG, Honghui |
초록 |
오만둥이(Styela plicata)는 아열대 해역에 가장 많이 또한, 가장 광범위하게 분포된 부착생물(fouling organism) 중 하나이다. 본 논문에서는 2012년 1-7월, 전형적인 아열대 양식 해만-다야완 다펑아오 해역(Dapeng Cove of the Daya Bay)에서 퇴적물 포집장치(sediment trap)를 이용하여 오만둥이의 생물 퇴적(biodeposition) 속도를 측정하였으며, 생물 퇴적물 중 유기물(organic matters, OM), 총 탄소( total carbon, TC), 총 질소(total nitrogen, TN), 유기탄소(organic carbon, OC), 유기질소(organic nitrogen, ON) 함량을 검출하였다. 연구 결과, 오만둥이의 일일 생물 퇴적 속도는 145.5-1011.8 mg/개였으며, 일평균 생물 퇴적 속도는 516.0 mg/개였다. 멍게(ascidian)의 일일 생물 퇴적 속도는 154.8-1065.8 mg/g(건조중량)였으며, 일평균 생물 퇴적 속도는 463.3 mg/g(건조중량)이었다. 오만둥이의 생물 퇴적물 중 OM, TC, OC, TN, ON 함량은 각각 14.38%, 10.80%, 2.87%, 3.06%, 0.86%였으며, 자연 퇴적물 중 OM, TC, OC, TN, ON 함량은 각각 13.39%, 7.36%, 2.32%, 2.29%, 0.67%이었다. 생물 퇴적물 중 TC와 ON 함량은 자연 퇴적물에 비해 뚜렷하게 높았다(P lt;0.05). 오만둥이의 OM, TC, OC, TN, ON 일일 생물 퇴적 속도는 각각 74.20, 55.73, 14.80, 15.79, 4.43 mg/개였다. 실험기간에 뗏목양식 시설과 양식산 굴(oyster) 껍데기에 부착한 오만둥이 밀도는 54.9-222.1개/m 2 였으며, 평균 147.5개/m 2 였다. 양식 해역 내 단위 면적의 오만둥이 일평균 생물 퇴적 속도는 76.1 g/m 2 로서, 자연 퇴적 속도(일평균 62.7 g/m 2 )의 1.21배였으며, 그 중 OM, TC, OC, TN, ON의 일평균 퇴적 속도는 각각 10.94, 8.21, 2.18, 2.32, 0.65 g/m 2 였다. 이로부터 추산한 결과, 다펑아오 굴 양식해역(약 103 hm 2 ) 내 오만둥이의 연간 생물 퇴적 부하량은 29000 톤이었으며, 그 중 OM, TC, OC, TN, ON는 각각 4100, 3100, 820, 870, 240 톤이었다. 그러므로 패각류를 대규모로 양식할 때, 멍게 등 부착생물이 양식 생태 환경에 미치는 영향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