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GIS-based Japanese scallop(Patinopecten yessoensis) aquaculture suitability assessment: a case study with the islands of Dachangshan and Xiaochangshan, North Yellow Sea, China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生態學報 = Acta ecologica sinica
ISSN 1000-0933,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LIN, Yong,LIU, Shu-xi,GUAN, Dao-ming,ZHANG, Zhen-dong,WEN, Quan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4-01-01
초록 수산양식에서 과학적인 공간 구획이 결핍하여 나타난, 최근 몇년간 중국의 최대 참가리비(Patinopecten yessoensis) 양식기지인 창산(Changshan) 군도에서 가리비가 대규모로 죽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현지 어업관리부문은 수산양식 공간 패턴을 최적화하는 기술수단과 과학적 근거가 시급히 필요하다. 엽록소a 농도, 해수면 온도, 수심, 투명도 및 평가 항목에서 어항, 시내구역, 유람구 및 자연보호구까지의 거리 등 지표를 이용하여 참가리비의 양식 적합성 평가 모델을 구축하고, 다창산도(Dachangshan Island)와 샤오창산도(Xiaochangshan Island) 해역을 시범구역으로 상기 해역의 참가리비 양식 적합성에 대한 공간 분석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다창산도와 샤오창산도 해역의 참가리비 양식 적합성은 비교적 높고 비교적 큰 공간 변이를 가졌다. 해역의 사용 충돌을 교려하지 않는 상황하에서 양식 적합성 지수가 6.0~7.0 및 7.0 이상인 해역이 시범구역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각각 26.04%(167.75km 2 )와 4.73%(44.06km 2 )이고 고적합성(SSI gt; 7.0) 구역은 주로 다창산도 서북 해역과 서남 해역에 분포되었다. 항로와 수산양식이 해역 사용 충돌이 존재하기 때문에 고적합성 구역 면적은 19.56km 2 로 대폭 감소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다창산도와 샤오창산도 해역의 참가리비 양식 공간 패턴의 최적화에 관한 건의를 제기하였다. 일부 간단한 거리 지표를 이용하여 육지 기초시설 요인이 수산양식 입지에 미치는 영향을 반영하고 해양-육지 총괄 이념을 체현하였으며, 해양-육지 총괄 기술방안 연구를 위한 중요한 참고적 근거를 제공하였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46113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aquaculture site suitability assessment,Islands of Dachangshan and Xiaochangshan,land-ocean overall planning,GIS-based model,수산양식 적합성 평가,다창산도와 샤오창산도,해양-육지 총괄 기획,GIS 모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