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CHENG, Lu-yang,YANG, Song-he,LIU, Lei,XU, Da-wei,QIAO, Yue-bing |
초록 |
렙틴(leptin)은 동물의 사상하부(Hypothalamus)-하수체(Pituitary axis)를 통해 그의 생식 활동을 조절한다. 그러나 사상하부를 통한 렙틴의 자궁 조절 작용은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생쥐의 측뇌실(Lateral ventricle)에 미량의 렙틴을 주사하여 6시간 후, 2차원 겔전기영동(two-dimensional electrophoresis, 2-DE)과 매트릭스 지원된 레이저 탈흡수 이온화 비행 시간 질량 분광계(Matrix assisted laser desorption ionization time of flight mass spectrometry, MALDI-TOF-MS) 기술을 결합하여, 난소 제거 후 에스트로겐(Estrogen)을 주사한 자궁강 액체의 단백질 발현 스펙트럼을 분리 및 감정하였다. 연구팀은 분별률이 높고 반복성이 양호한 2-DE 스펙트럼을 얻었다; 질량 분석과 SwissProt 단백질의 데이터 검색을 결부하여 총 24개의 차등 발현 단백질을 감정하고 생리 염수를 주사한 그룹(대조 그룹)과 비교 및 감정하였다. 측뇌실에 미량의 렙틴을 주사하였을 때 22개 단백질 분자가 뚜렷하게 상향 조절되었고 2개의 단백질 분자가 뚜렷하게 하향 조절되었다. 중요한 것은 상향 조절된 단백질 분자에 트랜스페린(Transferrin), 기질 금속의 단백질효소 7, 막 연합 단백질 A1, 보체 B 인자, 인산글리세롤 변이 효소 1, 에놀라아제(NSE), 코로닌-1A 등 15개 단백질 분자가 포함되었다. 하향 조절된 2개의 단백질 분자는 보체 C3, 용해성 물질 벡터 패밀리 4의 성원 3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런 단백질 분자는 세포 분화, 세포 전이, 세포 사멸 및 염증 반응 등 기능과 관련이 있다. 실험 결과, 렙틴은 사상하부-하수체를 통해 면역 조절, 암컷 생식과 염증 반응 등에 참여하고 이 과정을 통해 그의 자궁 조절 작용을 구현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렙틴의 자궁 조절 작용을 심층 깊게 인식하고 여성 생식 계통의 질환을 연구하는데 새로운 시사점을 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