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Chemical constituents and their antioxidant activities from thallus of Ramalina conduplicans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菌物學報 = Mycosystema
ISSN 1672-6472,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TANG, Yan-xia,LAXI, Namujila,BAO, Hai-ying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5-01-01
초록 기울기 추출 기법을 사용하여 라마리나 콘두프리칸스(Ramalina conduplicans)의 석유 에테르(30~60), 다이클로로메테인(dichloromethane), 에틸 아세테이트 등 물질을 추출하고 그에 대한 크로마토그래피 분석을 통해, 6개 단량체 화합물(spectroscopic analysis)을 분리 및 정제하였다. 각각 우스닌산(usnic acid)(1), 아트라노린(atranorin)(2), 바르바트산(barbatic acid)(3), 에베른산(evernic acid)(4), 디프락타산(diffractaic acid)(5), 살라진산(salazinic acid)(6) 등으로 확인되었다. 이 화합물들은 모두 최초로 라마리나 콘두프리칸스에서 분리하여 얻은 것이다. 이 화합물들의 DPPH?와 ABTS?+ 제거 능력을 측정하고 체외 항산화 활성(antioxidant activity)을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 검사 농도 범위에서 살라진산의 ?DPPH의 제거율과 종말 농도 간에는 일정한 용량-효과 관계(Dosage-dependent effect)가 존재하였고, 55 μmol/L의 살라진산 농도에서 ?DPPH 제거율이 57.05%(P 아트라노린, 바르바트산, 에베른산의 농도가 13.75~55 μmol/L일 때, DPPH 자유라디칼 제거율과 종말 농도는 용량-효과 관계를 나타냈다. 우스닌산의 DPPH? 제거 능력이 비교적 강했고 3.4375 μmol/L 및 27.5 μmol/L 농도 범위에서 DPPH 자유라디칼 제거율이 74.78%(P 디프락타산, 살라진산, 바르바트산의 ABTS?+ 자유라디칼 제거율은 종말 농도와 일정한 용량-효과 관계를 나타냈으며, 농도가 55 μmol/L일 때 ABTS?+ 자유라디칼에 대한 디프락타산의 제거율 50.79%(P 라마리나 콘두프리칸스은 다양한 벤조 퓨란(Benzo furan)류 화합물과 뎁시드류(depside) 화합물 및 그의 유도 생물을 함유하였으므로, 개발 및 이용 잠재력이 있는 항산화제 자원이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46278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Ramalina conduplicans,compound,antioxidant activity,2,2­diphenyl­picrylhydrazyl assay(DPPH),2,2­azinobis­[3­ethy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ssay(ABTS),라마리나 콘두프리칸스,화합물,항산화 활성,DPPH 기법,ABTS 기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