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PbWO4 : Gd 단결정 내의 Gd3+ 상자성 이온에 대한 바닥 상태 에너지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韓國磁氣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magnetics society
ISSN 1598-5385,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6-01-01
초록 분광학적 분리인자 $g_{ij}$ 와 영자기장 갈라지기 상수 값 $B_k^q$ 값을 유효 스핀 하밀토니안에 사용하여, $PbWO_4$ : Gd 단결정 내의 정방정계 대칭성 자리에 위치하고 있는 $Gd^{3+}$ 상자성 불순물 이온(유효전자 스핀 S = 7/2)의 바닥상태에서의 에너지 준위를 계산하였다. 외부 자기장이 영일 경우의 $Gd^{3+}$ 이온의 영자기장 갈라지기 값은 $PbWO_4$ : Gd 단결정의 방향에 관계없이 모두 같았고, 이때 ${ mid{ pm}7/2}$ gt; ${ leftrightarrow}{ mid{ pm}5/2}$ gt;, ${ mid{ pm}5/2}$ gt; ${ leftrightarrow}{ mid{ pm}3/2} $ gt;, ${ mid{ pm}3/2}$ gt; ${ leftrightarrow}{ mid{ pm}1/2}$ gt; 전이 사이에서 계산된 에너지 간격은 각각, 6.9574 GHz, 6.9219 GHz, 15.8704 GHz이다. 결정학적 축에 대하여 외부 자기장을 가하는 방향에 따라서 서로 다른 에너지 준위 값을 나타내었다. 이중 외부자기장이 결정학적 주축 a- 및 c-축에 나란할 경우에 에너지 준위를 계산하여 논의하였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JAKO201614137728379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lt,TEX gt,$PbWO_4$ lt,/TEX gt,단결정, lt,TEX gt,$Gd^{3+}$ lt,/TEX gt,이온,전자 상자성 공명,에너지 준위, lt,TEX gt,$PbWO_4$ lt,/TEX gt,single crystal, lt,TEX gt,$Gd^{3+}$ lt,/TEX gt,ion,electron paramagnetic resonance,energy lev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