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주형 합성법을 통해 합성된 다공성 주석 산화물을 적용한 리튬이차전지용 음극재 연구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전기화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lectrochemical Society
ISSN 1229-1935,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서경주,최재철,이용민,고창현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4-01-01
초록 5 nm의 중형기공(mesopore)을 지녔으며 5~7 nm 굵기의 산화주석( $SnO_2$ ) 나노선 다발이 잘 정렬된 meso- $SnO_2$ 를 주형합성법을 이용해서 제조하였다. 또한 주형합성법을 변형시켜서 5~7 nm 굵기의 동일한 나노선 다발 사이에 존재하는 중형기공에 주형으로 사용되었던 실리카( $SiO_2$ )를 일부 남긴 meso- $SnO_2$ 와 실리카의 복합체인 meso- $SnO_2$ / $SiO_2$ 도 제조하였다. X-선 회절, 질소흡착법, 투과전자현미경을 이용해서 meso- $SnO_2$ 와 meso- $SnO_2$ / $SiO_2$ 의 구조를 확인하였다. meso- $SnO_2$ / $SiO_2$ 는 meso- $SnO_2$ 에 비해서 충방전시 발생하는 부피 팽창을 완화할 수 있을 것으로 예측했으며, 순환전압전류곡선, 교류 임피던스 분석, 충방전 전압 Profile 변화를 통해 부피 팽창 완화 효과를 확인하였다. 하지만, 수명 특성 측면에서는 구조 제어 효과가 미비하여, 향후 이를 개선하는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JAKO201417048539338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lt,TEX gt,$SnO_2$ lt,/TEX gt,. Anode materials,Mesoporous material,Template synthesis,Lithium-ion batter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