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벼 황잎 돌연변이체(xantha mutant)에 고온 스트레스(high-temperature stress) 처리(9:30~17:30, 40℃; 기타 시간대에는 자연 온도)를 진행하여 고온 스트레스가 지엽 광합성 특성(photosynthetic characteristics)과 엽록체 초미세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그 결과, 고온 스트레스는 벼 황잎 돌연변이체 지엽 순 광합성 속도(flag leaves net photosynthetic rate, Pn), Ps II 초기 광화학 효율(primary photochemical efficiency, Fv/Fm), Ps II 광량자효율(optical quantum efficiency, фPS II)와 비순환 광합전자 전송 효율(electron transfer rate, ETR)은 뚜렷이 감소하였으며 초기 형광(fluorescence, F0)은 뚜렷이 증가하였다. 또 지엽 엽록소, 가용성 단백질 함량이 현저히 낮아졌으며 세포막 투과성이 증가하고 잎몸의 그라나(Grana)와 기질 박막층이 모호하고 느슨하였으며 구조가 복잡하였다. 연구를 거쳐 40℃의 고온 스트레스는 벼 황잎 돌연변이체 지엽 엽록체의 초미세구조를 파괴하여 PS II 반응을 일으키는 중심의 광화학적 효율을 낮추며 결국 잎몸 광합능력의 감소를 초래한다는 것을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