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DU, Yao-dong,LI, Jian-ling,WANG, Hua,TANG, Xiang-ru,HU, Fei |
초록 |
본 논문은 분재법(pot-cultured)을 이용하여 인공 항온항습기(climate chambers)에서 슈퍼하이브리드 벼(Super hybrid rice) 품종인 lsquo;톈유(Tianyou) 998 rsquo;의 4개 생장기(출수기(heading), 유숙기(milking), 경립기(wax-maturing), 완숙기(full maturing))에 대해 5가지 고온 처리(최고 온도를 각각 32, 35, 38, 40와 42℃로 설정하고, 일교차는 6℃, 각 처리시간은 5일, 매일 2시간, 자연적인 조건에서 생장한 벼를 대조군)를 진행하여 고온 스트레스가 벼 지엽의 광합성 작용과 형광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고온은 논벼 지엽의 광합성 작용과 형광특성에 뚜렷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또한 고온처리, 생장시기, 파라미터가 다름에 따라 차이가 있었는데 온도가 높을수록 미치는 영향이 더욱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온처리 후 논벼 지엽의 엽록소 함량(chlorophyll content, SPAD), 순수광합성 속도(net photosynthetic rate, P n ), 기공 유통성(stomatal conductance, G s )은 감소하였으나 세포간 이산화탄소 농도(intercellular CO 2 concentration, C i )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광화학적 효율(efficiency of PSII photochemistry , F v /F m ), 양자 실수율(actual quantum yield, Phi; PSII ), 표면 광합성 전자 전송율(apparent photosynthetic electron transport rate, ETR), 광화학 담금질 계수(photochemical quenching coefficient, qP), PSⅡ 광화학 반응(P)은 감소하였으나 초기 형광 계수(initial fluorescence, F o ), 비광화학 담금질 계수(non-photochemical quenching coefficient, qN), 기타 열확산(other heat dissipation, E)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온도가 35℃ 보다 높을 때 4개 생장기의 광합성 작용과 형광 지표는 대부분 뚜렷하게 변하였는데 최고온도가 38℃ 보다 높을 때에는 대폭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출수기와 유숙기에는 P n 、G s 가 감소하는 것이 뚜렷하였지만 C i 는 증가하는 것이 뚜렷하였고, 경립기, 완숙기에는 SPAD가 감소하는 것이 뚜렷하였다. 고온에서는 출수기, 유숙기 논벼 지엽의 F v /F m 의 감소폭과 F o 의 증가폭은 경립기와 완숙기 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온 스트레스가 논벼 지엽의 P n 에 미치는 영향이 SPAD 보다 크다. 출수기와 유숙기 논벼 지엽의 P n 가 감소하는 것은 주로 기공 요인(stomatal factors)으로 인한 것이지만, 경립기와 완숙기 논벼 지엽의 P n 가 감소하는 것은 주로 비기공 요인(no-stomatal factors)으로 인한 것으로 나타났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