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A study on Zhuangzi's Concept of Tao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道敎文化硏究 = Journal of the studies of Taoism and culture
ISSN 1598-7906,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0-01-01
초록 장자 사상 중에 많은 중요 개념들이 있지만, 그 중에서 「도」는 역대 많은 장자 주석가와 현대 장자 사상을 연구하는 학자들이 중시하는 개념이다. 유소감(劉笑敢) 교수는 장자의 「도」에는 2가지 의미가 내포돼 있다고 했다. 하나는 우주 만물의 본근(本根), 이는 우주 만물의 기원 및 본질과 관련된 관념이고, 또 다른 하나는 만물을 인식하는 인식에 있어서의 최고 인식의도(道). 유소감(劉笑敢) 교수가 말하는 우주 만물의 본근(本根)은 만물과 우주를 생성하는 본체로서의 본근이다. 그러나 만약 「도」의 의미를 유소감 교수와 같이 할 경우에는 《장자》의 「부물불승천구(夫物 不勝天久)」등의 해석해 있어 난해가 있을 것이다. 또한, 인식에 있어 최고의 「도」문제 중, 장자는 인간 사회 중 각종 가치 판단의 원인은 「성심(成心)」과 만물 중에 공동으로 인정할 수 있는 기준이 없기에 만물간의 인식은 모두 상대적이라고, 또한 인간은 모두 편견으로 사물을 인식하기에 인간 사회에 각종 가치 판단과 주장이 생겼다고 주장했다. 〈제물론〉에서 말한 「도」는 우주론이나 본체론적인 의미가 아니라, 사물과 인간의 행위 방법에 대해 어떻게 인식해야 될 것인가에 대한 내용이고, 그 「도」에 대한 인식은 우리들의 사유에만 의존한 것이 아니라 체득해 의해 그 「도」를 인식할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본고는 유소감 교수의 「도」에는 2가지 의미에 분석 논의해 보려고 한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57426988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장자,인식론,도,가치,성심,천,도가,莊子,認識論,道,成心,價 #x503C,. 天,道家