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Morality and life -the Concepts and Types of Life ideology in Daoism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道敎文化硏究 = Journal of the studies of Taoism and culture
ISSN 1598-7906,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0-01-01
초록 소위 생명에 대한 자각과 생명의식, 그리고 생명사상은 중국도가사상과 그 철학에 있어 가장 관건이자, 가장 핵심이 되는 부분이다. 그 기본정신은 모든 도가사상체계를 관통하고 있으며 고대 도가사상의 철학적 主旨와 근원으로서 작용해 왔다. 도가사상의 최고 철학적 범주인 '道'는 본질적으로 모든 생명적 본의를 함축한 전 우주적 '本'과 현실에 존재하는 一切 생명의 '本'이 상호 유기적으로 결합되고 一體화된 개념으로서 모든 생명존재에 대한 고도의 형이상학적 사유를 통해 정립된 이론적 精華이다. 현대생명사상 영역에 있어 이러한 도가의 사상은 인간과 우주, 그리고 天地와 일체 만물들의 本源적 생명논리가 서로 교통하고 상호 지향될 수 있는 整體적 생태지혜를 설파한다. 또한 도가의 모든 이론과 사상은 '天人合一'과 '物我一體' 의 통합적 관념위에 새워져있으며 '道生萬物'과 '人天同源'을 그 기본특징으로 하고 天地人三者를 하나의 유기적 통일정체로 파악하고 있기 때문에 인간과 자연만물은 공통의 생명본질과 공동의 생명법칙을 향유하고 있다고 본다. 따라서 도가철학사상에 있어 소위 '生命'은 가장 근원적 主旨와 본질적 특성으로 표현되는 철학적 사상중심이며, 우주론, 자연론, 生成論, 中和論, 가치론, 사유방법론 등의 모든 사상적 관점 역시 이러한 사상적 主旨에 입각해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우리가 도가의 여러 사상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먼저 도가의 생명론이나 생명사상에 대한 충분한 이해와 心得의 경험이 선행되어져야 하며, 그러한 논리선상에서 현대생명생태사상과 도가생명사상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져야 한다. 본고는 도가철학에 나타난 생명주의를 고찰하는 데 있어 道의 生命性, 德의 生命性, 天地人의 生命性, 그리고 萬物의 生命性과 또 그들 상호간의 관계성에 대한 보다 세밀하고도 명확한 관점을 바탕으로 작성되어 졌으며 21세기 중심담론으로 급부상하고 있는 현대 생태주의 문제에 대한 대안으로 동양전통철학사상, 특히 도가사상의 相生적 생명주의의 틀에 따라 현대 생태사상과 상호 교통되어질 수 있는 생명주의에 관한 사상적 원리 및 그 가능성에 대해 탐구하고자 했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57426948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道家,易,道,德,自然,生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