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東醫寶鑑』 宇宙本體論에 관한 硏究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道敎文化硏究 = Journal of the studies of Taoism and culture
ISSN 1598-7906,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0-01-01
초록 본 논고에서는 『東醫寶鑑』에 인용되어 있는 자료와 그 내용을 통하여 『동의보감』이 수용하여 종합하고 있는 우주본체론에 대하여 살펴본다. 『동의보감』을 통하여 우주본체론을 살펴본 것은 최근 분석심리학이나 인지과학등의 분야에서 서양 사상의 단자론적인 이원론을 비판하고 동양 사상이 가지고 있는 유기적이고 합일적인 우주론으로 보고자 하는 요구가 있는 것과 관계가 있다. 서양은 고대에서 근대로 넘어 오면서 사람의 몸과 우주에 관한 관점이 바뀌었지만 동양은 고대에서 근대로 넘어오는 과정에서도 그 기본이 되는 天人相通論에는 변함이 없지만 우주본체에 대한 관점은 종교적 철학적 영향으로 시대에 따라 전환되어 간다. 『동의보감』에는 동양사상의 천인상통론을 기본적인 논리로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각 시대에 따라 전환되어 가는 관점을 모두 수용하여 유기적으로 종합하고 있다. 『동의보감』이 수용하고 있는 우주본체론은 그 인용서를 통하여 해석할 수 있다. 그 인용서 가운데 각 시대의 우주본체론를 내함하고 있는 대표적 서적으로는 漢代의 『黃帝內經』과 『易緯 ㆍ乾鑿度』, 위진남북조 시기의 『黃庭經』, 宋代陳顯微의 『周易參同契解』와 兪琰의 『易外別傳』, 明代에 정리된 『金丹正理大全』등을 들 수 있다. 논자는 인용서들을 통하여 살펴본 우주본체론의 변화를 두 가지 체계로 해석해 본다. 그 하나는 易의 논리체계이고 다른 하나는 氣의 논리체계이다. 우선 易의 논리체계로 해석하면 『건착도』의 太易說을 인용하여 자연의 기본적인 운행법칙을 괘기설로 설명한다. 괘획은 陰陽二氣의 변화로 그려지고 괘효의 변화는 절기의 변화를 체현하기 위하여 표현된다. 또 '一闔一闢의 變'의 논리로 易이 변화의 근원이 됨을 말하고 『주역참동계』를 인용하여 괘효의 논리로써 內丹을 말한다. 다음 氣의 논리체계로 보면 각 시대의 우주본체론은 漢代의 『黃帝內經』을 통한 氣論, 위진남북조 시기의 『黃庭經』을 통한 神論, 宋元代의 心論 등으로 해석된다. 이상의 이론들이 동의보감을 통하여 유기적으로 종합되어 있다. 이와 같이 『동의보감』이 동양의 우주본체론을 유기적이고 종합적으로 내포되어 있는 것을 탐색하는 것은 현대사회에서 제기되고 있는 서양의 이분법적 사고로 야기되는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으리라고 기대해본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57426984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동의보감. 우주본체론,천인상통론,허준,황제내경,東醫寶鑑,宇宙本體論,天人相通論,太易說,陰陽氣,先天一氣,太易,太初,太始,太素,存在根據,養生論,氣神論,體內神,金丹論,身中之易,心主,易,氣,神,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