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Optimization of Haematococcus pluvialis culture and lipid production process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應用與環境生物學報 = Chinese journal of applied and environmental biology
ISSN 1006-687x,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LIU, Yan,XU, Yue-song,WU, Xi,SONG, Ting-fu,ZHANG, Bai-mei,QIAO, Dai-rong,CAO, Yi,XU, Hui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4-01-01
초록 바이오디젤유 생산과정 중 유지 결핍(oil shortage) 문제를 해결하고자, 실험실에서 선별하여 얻은 유지 고생성 균주--Haematococcus pluvialis SCTCC-600012를 이용하여 배양 조건 최적화와 유지 생성 공법 연구를 진행하였다. 서로 다른 농도의 NaNO 3 , K 2 HPO 4 , α-Naphthaleneacetic acid(NAA), 3-indole butyric acid(3-IBA), Mg 2+ , 글루코오스가 Haematococcus pluvialis SCTCC-600012의 생장 및 오일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각각 비교하였다. 비교 결과, 그 최적 생장 조건은 각각 NaNO 3 1.0 g/L, K 2 HPO 4 1.0 g/L, NAA 7 mg/L, 3-IBA 16 mg/L, Mg 2+ 2.5 mg/L이다. 최적 오일 생성 조건은 각각 NaNO 3 0.125 g/L, K 2 HPO 4 0.1 g/L, NAA 7 mg/L, 3-IBA 1.0 mg/L, Mg 2+ 2.5 mg/L, 글루코오스 1.0 g/L이다. 최적화 후의 유지 함량은 32.8%이며, 기초 발효배양기 중의 유지 함량(19.59%)보다 약 1배 향상되었다. GC-MS를 이용하여 유지에 대해 지방산 성분 분석을 진행하였다. 결과, 주요 성분은 팔미톨레산(palmitoleic acid)과 올레산(Oleic acid)이며, 식물유와 비슷하였고, 바이오디젤유 생산에 적합하였다. 본 연구는 배양조건과 오일 생성 공법을 최적화하여 Haematococcus pluvialis의 생장속도와 유지 함량을 향상하였으며, 바이오디젤유 원료 선택에 참조적 자료를 제공하였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1881582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Haematococcus pluvialis,culture condition,oil production process,oil content,biodiesel,Haematococcus pluvialis,배양 조건,오일 생성 공법,유지 함량,바이오디젤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