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디지털 스토리텔링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한국근대문학연구 = Journal of modern Korean literature
ISSN 1229-8131,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07-01-01
초록 디지털 스토리텔링이 진정으로 텍스트를 포월하기 위해서는 수 많은 네트의 얽힘과 풀림이 존재해야 하며, 그러한 문학적 타래의 감김과 매듭의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독자는 진정한 하이퍼텍스트 사고방식을 체득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디지털 스토리텔링은 궁극적으로 작가의 단독작업으로는 충족될 수 없는 공동작업의 성향을 보여준다. 때문에 디지털 스토리텔링에 대한 평가는 대개 독자를 중심으로 이루어지지만, 비선형적ㆍ탈중심적 내러티브 자체만으로는 독자에게 해방이 아니라 혼돈을 야기할 우려가 있다. 준비되지 않은 독자에게는 무한의 자유 보다 유한의 자율이 효율적이기 때문이다. 디지털 이후에는 과연 어떠한 패러다임이 등장할 것인가에 대해 벌써부터 이견이 분분하다. 물론 현재로서는 화두에 가깝다. 다만 컴퓨터 매체의 발달로 디지털 스토리텔링의 형태가 가능해진 것처럼, 앞으로 양자 역학과 나노이론, 끈이론 등이 확고한 패러다임으로 자리 매김한 이후의 시대는 상상을 불허하는 지각변동이 예견된다. 매체와 불가분의 관계를 맺고 있는 스토리텔링의 경우도 예외는 아니다. 인간을 닮았으면서도 모든 면에서 인간을 능가하는 양자컴퓨터의 개발로 지금과는 다른 체감형이나 일체형 매체의 영향을 받게 될 것이다. 그렇다 하더라도 포스트 디지털 시대에도 스토리텔링은 체감형 매체들과 유기적으로 상호작용하면서 지금까지 그랬듯이 진화할 것이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56129877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디지털 스토리텔링,하이퍼텍스트 문학,디지털 미디어,포스트디지털 스토리텔링,storytelling,digital storytelling,hypertext literature,digital media,postdigit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