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Plant diversity and soil physical-chemical properties in karst rocky desertification ecosystem of Guizhou, China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生態學報 = Acta ecologica sinica
ISSN 1000-0933,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SHENG, Mao-yin,XIONG, Kang-ning,CUI, Gao-yang,LIU, Yang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5-01-01
초록 구이저우(Guizhou Province)의 전형적인 카르스트(karst) 석막화 생태계 환경을 연구대상으로, 야외 샘플링 조사와 실험실 검출 분석기법을 이용하여, 다양한 정도의 석막화 환경의 식물 다양성과 토양 물리화학적 성질 및 그 상관관계를 연구하였다. 공간으로 시간을 대체하는 기법을 이용하여, 석막화 과정 중의 식물 다양성과 토양 물리화학적 성질의 반응을 연구함으로써, 구이저우, 나아기 전 중국의 서남 카르스트 삼림 생태의 보호와 석막화 생태계의 복원, 재구축에 이론적 지원을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 (1) 석막화 환경 내 식물 군락의 구성은 간단하였으며, 종 풍부도도 아주 낮았다. 또한, 석막화 정도가 심화될수록, 식생의 종 조성도 감소 추세를 보였다. 다양한 정도의 석막화 환경의 식물 다양성은 뚜렷한 차이를 갖고 있었다. 균등도 지수의 변화와 석막화 정도의 변화는 뚜렷하게 결합되었으며, 석막화 정도의 심화와 더불어 감소 추세를 보였다. (2) 다양한 정도의 석막화 환경의 토양 물리화학적 성질은 뚜렷한 차이가 있었는데, 석막화 정도가 심화될수록, 토양 물리화학적 성질이 퇴화하다 개선되는 반응과정을 보였다. 토양 유기물질, 질소, 모세관 수분 함량, 용적 중량, 공극도는 식물 다양성과 뚜렷한 상관관계를 갖고 있었는데, 이는 토양 물리화학적 성질을 개선하고 식물 다양성의 복원을 촉진하는 면에서 핵심 역할을 하였다. (3) 주성분 분석 결과, 토양 유기물질, 질소, 칼륨, 수분 함량, 공극도, 식물 다양성의 균등도 지수 등은 토양 물리화학적 성질과 식물 다양성에 기반한 석막화 평가의 핵심 지표였다. 상기 결과를 기반으로, 석막화 과정 중의 식물 다양성과 토양 물리화학적 성질의 변화 법칙과 반응 메커니즘을 한층 더 규명하였다. 연구 결과는 중국 서남 카르스트 삼림 생태의 보호와 석막화 생태계의 복원, 재구축에 일정한 이론적 의미와 실제적인 지침적 가치를 가진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47029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Karst,rocky desertification,plant diversity,soil physical-chemical properties,succession,카르스트,석막화,식물 다양성,토양 물리화학적 성질,변화 법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