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Effects of Source-Sink Regulation on Plant Growth, Leaf Antioxidative Characteristics,Yield and Quality of Muskmelon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西北植物學報 = Acta botanica boreali-occidentalia sinica
ISSN 1000-4025,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Fan, Bosheng,Jinag, Fangling,Wang, Xu,Hu, Genjin,Wang, Dong,Wu, Zhen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3-01-01
초록 본 논문에서는 머스크멜론(muskmelon) 품종인 '중톈(zhongtian) 1호'를 재료로 하고 V1F2[주만(main vine) 꼭대기 부분의 하나의 덩굴손+각 식물체에 2개 과실, 이하 생략], V2F2, V3F2, V1F3, V2F3, V3F3 등 6가지 처리를 하였으며 꼭대기 덩굴손(top vine)이 없고 각각 식물체에 하나의 과실을 남기는 것을 대조군으로 하여 소스-싱크(Source-Sink) 관계 중 주만 꼭대기에 남긴 덩굴 수와 단일 식물체에 남긴 과실 수가 머스크멜론의 성장, 잎몸의 항산화 특성과 과실 생산량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그 결과, (1) 성장기가 길어지면서 과실 수가 증가하는 것은 머스크멜론의 줄기의 굵기, 마디의 길이, 최대 기능 잎 길이는 모두 뚜렷한 억제를 받게 되며 꼭대기 덩굴의 수는 위에서 서술한 세 가지 지표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2) 2개의 과실을 남겼을 때, 잎몸의 O 2 .- 생산 속도는 CK보다 약간 늦었으며 MDA 함량은 CK보다 높았다. 또 3개의 과실을 남겼을 때, 잎몸 중 O 2 .- 생산 속도와 MDA 함량은 가장 높았으며; 모든 조건에서 2개의 과실을 남겼을 때의 POD 활성이 가장 낮고 3개 과실을 남겼을 때의 SOD 활성이 가장 낮았다. (3) 각 식물체에 2개의 과실을 남겼을 때, 꼭대기 덩굴 수를 증가하는 것은 과실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었으며, 3개의 과실을 남기고 또 꼭대기 덩굴 수를 증가하면 과실의 품질은 저하하게 되며 특히 3번째 과실의 품질이 가장 나빴다. 연구 결과, 남긴 과실 수가 머스크멜론의 성장과 잎몸의 항산화 특성에 미치는 영향은 꼭대기 덩굴 수보다 컸으며, 매 식물체에 각각 2개의 과실과 덩굴을 남기는 것이 식물의 성장에 유리하여 잎몸의 항산화 능력을 향상하고 잎몸 노화를 방지함으로써 단일 식물 생산량을 증가하여 과실의 품질을 높일 수 있었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66519844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muskmelon,top vine,fruit number,growth,antioxidative characteristics,yield and quality,머스크멜론,꼭대기 덩굴손,착과량,성장,항산화 특성,생산량과 품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