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Effects of water and light interaction on reactive oxygen metabolism in ginger leaves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應用生態學報 = Chinese journal of applied ecology
ISSN 1001-9332,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ZHANG, Yong-zheng,LI, Hai-dong,LI, Xiu,XIAO, Jing,XU, Kun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3-01-01
초록 뿌리에 물 공급 상황 및 잎사귀의 빛 강도와 생강 잎사귀에 활성 산소의 대사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G-6000으로 가뭄과 50%의 차광(shading) 처리를 시뮬레이션 하였으며 자연 강광에 정상적인 물 공급(T 1 ), 50% 차광하고 정상적인 물 공급(T 2 ), 자연 강광에 가뭄 시뮬레이션(T 3 ), 50% 차광에 가뭄 시뮬레이션(T 4 ) 등 4가지 조건이 생강 잎사귀의 활성 산소 수준 및 항산화효소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6일 동안 스트레스를 받았을 때, 생강 잎사귀의 O - · 2 생산 속도, 과산화수소(Hydrogen peroxide) 함량 및 막지질 과산화 산물 말론알데히드(malonaldehyde, MDA) 함량은 점심일 때 명확히 높아지고 T 3 의 증가폭이 가장 크며 T 4 가 그 다음이고 T 1 ,T 2 가 가장 작다. 항산화효소는 T 1 、T 2 의 과산화수소 효소 활성이 점심일 때 가장 높고 이외에 여러 가지 처리한 과산화물 제거효소(Superoxide dismutase), 페르옥시다아제(Peroxidase) 및 T 3 、T 4 의 과산화수소 효소 활성은 점심일 때에 명확히 줄어든다. 지속적으로 처리하는 과정에서 T 1 、T 2 조건의 생강 잎사귀에 활성 산소 수준 및 항산화 효소 활성은 대체로 안정적이다. 그러나 T 1 이 T 2 보다 높고 T 3 , T 4 활성 산소 수준은 지속적으로 높아지며 보호효소의 활성은 먼저 높아졌다가 다시 낮아지는 추세이다. 즉 가뭄 스트레스 특히 강광과 가뭄 교차 스트레스는 생강 잎사귀에 활성 산소의 축적을 유발할 수 있다. 그러나 차광은 보호 효소의 활성을 유지하는 데 유리하며 잎사귀에 활성 산소 수준을 낮추고 가뭄 스트레스로 인한 손상 정도를 줄일 수 있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69977141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ginger,drought stress,strong light stress,reactive oxygen,antioxidant enzyme,생강,가뭄 스트레스,강광 스트레스,활성 산소,항산화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