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참외ㆍ멜론의 품종 분류 및 명명에 관한 최근 동향과 분석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원예과학기술지 =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technology
ISSN 1226-8763,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이승인,권용삼,배경미,송인호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04-01-01
초록 참외는 식물분류학상으로는 멜론과 동일하게 Cucumis melo L. (2n=24)에 속한다. 멜론은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지리적 분포와 함께 많은 야생종과 재배종이 알려져 있으며, 아프리카 지역이 종다양성의 지리적 중심을 이루고 있다. 멜론의 순화는 약 4000년전 아시아와 아프리카 지역에서 각각 독립적으로 진행되었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멜론 작물의 형태적 다양성은 변종들 간의 혼종과 타가수정 작물로서 자연교잡에 의하여 주로 진행되었으며, 이로 인하여 국내외적으로 종 분류에 혼란이 상존해 왔다. 우리나라는 오랜 참외 재배역사와 함께 다양한 재래종과 '금싸라기'로 대표되는 재배종 품종들을 가지고 있다. 참외를 포함한 멜론의 분류명으로는 cantalupensis, reticulatus, makuwa 등의 변종명이 오랫동안 사용되어져 왔다. 그러나 최근 새로운 분류체계의 성립과 육종 및 분자유전학의 발달에 따라 많은 논문에서는 cantalupensis와 reticulatus의 분류가 통합되어 칭하여지는 등 현재 우리나라에서 사용되어지고 있는 관행들이 일반적으로 준용되는 국제 기준의 분류 및 명명법과 상호 일치되지 않는 부분들이 발견되고 있다. 본 총설에서는 이에 관한 국내외 기준의 통용성을 확보하는 차원에서, 복잡한 양상을 띠고 있는 C. melo 종들의 분류와 명명법 체계에 대한 발전 내용을 중심으로 최근 논의동향을 살펴보았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23734744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cantalupensis,cucumis melo,domestication,Geumssaraki,makuwa,nomenclature,reticulatus,variety,변종,명명법,순화,금싸라기은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