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Shallot의 우량종구 미세증식방법 개발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원예과학기술지 =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technology
ISSN 1226-8763,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조용조,문진성,송주연,정병룡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07-01-01
초록 1995년 프랑스산 shallot을 도입하여 양파연구소에서 국내 적응을 수행한 결과 노지 월동작물로서 재배적인 가치가 있음이 밝혀졌다. 그러나 비대기의 고온에 의한 식물체의 조기 고사현상 및 습해 발생으로 수량이 점차 감소되는 것과 영양번식체로 세대를 진전시키는데 기인한 종구의 퇴화 현상과 같은 어려움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shallot을 조직배양을 통해 유전적 동일성이 결여된 변이체가 발생되지 않는 virus-free 개체를 획득하기 위해 배양법별 우량 종구의 대량증식을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단축경배양은 다른 배양에 비하여 잎과 뿌리의 분화가 빠르고 구 비대 역시 빨랐다. 그리고 유전적으로 안정된 동질한 유식물체를 얻을 수 있었다. 화기배양은 치상 30일 후에 multiple shoots을 형성하여 대량증식의 좋은 재료임이 증명되었으나 소구의 형성기간은 단축경배양에 비하여 더 길었다. 치상에서 순화종료까지의 소요일수가 단축경배양은 140일, 화기배양은 250일, 그리고 생장점배양은 320일이어서 단축경배양이 생장점배양이나 화기배양에 비하여 각각 1.8 배와 2.3배로 배양속도가 빨랐다. 한편, 증식력은 화기배양에서 4~13배로 가장 높았다. 그리고 virus-free 개체를 획득하기 위해서는 생장점배양이 요구되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virus- free 개체 획득을 위해서는 생장점배양이 좋으나 배양 기간이 길고 증식력도 낮은 결점이 있었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46686882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단축경배양,화기배양,생장점배양,미세증식,basal plate culture,flower organ culture,meristem culture,microprop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