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JIN, Shao-fei,TANG, Feng-hua,DAI, Li-feng,CUI, Xue-sen,WANG, Yun-long,FAN, Wei |
초록 |
중국 원양어업 중점개발지역 가운데 하나인 북태평양 오징어(Ommastrephes bartram) 어장 내 어업 자원의 지속 가능한 개발 및 이용은 원양어업을 유지하는 데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해당 해역 내 동물성 플랑크톤(zooplankton)의 다양성 및 어획 생산량과의 관계를 연구하고자, 2010년 6~9월에 저우산(Zhoushan City) 해양어업회사의 선박을 이용하여 서부 어장(152°-159°E,38°-45°N) 및 동부 어장(176°E-171°W,38°-41°N)의 총 51개 기지에서 표층 동물성 플랑크톤 샘풀을 수집하고 표층 수문 환경 데이터를 조사하였다. 현미경 검사 분석을 통하여 총 34과 44속 89종의 동물성 플랑크톤(어란, 자어 및 플랑크톤 유충을 제외함)을 얻었다. 그 중 동부 어장 35종, 서부 어장 83종이었다. 주요한 구성 부분에는 요각류(Copepod), 피낭류(Tunicata), 모악동물(Chaetognatha), 해파리(Medusae) 등 큰 유형이 있었으며, 주요한 종은 광온 광염성 온수종이었고, 우점종은 Paracalanus parvus, Dolioetta gegenbauri, Paracalanus crassirostris, Calanus sinicus, Oikopleura dioica 등이었다. 조사 기간에 서부 어장의 표층 해수 평균 온도(19.4℃), 평균 바이오매스(485.13 mg/m 3 ) 및 평균 풍도(801 ind/m 3 )는 동부 어장의 상응한 파라미터의 평균값(각각 14.2℃, 98.13 mg/m 3 , 123 ind/m 3 )보다 뚜렷하게 높았다. 분석 결과, (1) 조사지역 내 강한 쿠로시오 해류(Kuroshio current)는 온수종이 대부분을 차지하게 된 주요한 환경 요소였다. (2) 어획 생산량과 대수화를 거친 바이오매스는 비교적 잘 피팅되었다. 피팅 곡선을 결합하여 일정한 확률에 따른 회귀구간 및 예측구간을 제시하였는데, 이는 해당지역의 어업 자원량을 평가하는 데 일정한 참고를 제공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