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고등어(Scomber japonicus)는 자원이 풍부해 중국 근해 어업에서 중요한 지위를 차지하고 있다. 고등어 어장의 형성은 해양 환경의 제약을 받는다. 본 논문에서는 고등어의 운동과 물리학적 환경 사이의 호응관계를 확인하였으며, 개체 모델을 기반으로 한 고등어 성장 회유 모델을 구축하였다. 그 결과, 고등어 군집분포와 어획생산 어장은 기본적으로 일치하였다. 고등어의 집결은 주요하게 대만 난류, 중국 대륙 연안수, 쿠로시오 해류의 영향을 받으며 늘 특정 온도 범위 내에, 그리고 한류와 난류의 교차구역에서 열염 구배가 크고 따뜻한 온수 쪽에 집결하고 있었다. 대만 난류와 연안수가 교차한 전선면 부근, 대만 난류 온난 설형 구역의 앞부분 및 쿠로시오 해류와 중국 대륙 연안수에 의해 형성된 조류 발생구역에는 모두 대량의 고등어가 군집하여 어장을 형성하고 있었다. 산란 위치의 변동에 따라, 서쪽 편에 산란한 고등어들은 대만 난류의 영향을 크게 받아 긴 띠 모양을 갖고 있었고 대만 난류와 연안수의 전선면 부근에 집결하고 있었으며 대만 난류 설 형 온난역 앞부분의 수량이 증가 되었지만, 동쪽 편에 산란한 고등어들은 쿠로시오 해류의 영향을 크게 받았고 집결 분포 범위가 넓었으며 쿠로시오가 형성한 전선면 부근의 수량은 증가 되었지만 대만 난류 온난 설형 구역 앞부분의 집결 양은 감소되었다. 정상적인 산란 위치가 생존율 면에서 가장 좋은 산란 위치였다. 본 연구에서는, 고등어가 처한 지리적 위치가 다름에 따라 그 군집 위치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는 것을 보여주었으며, 수치 모델을 통하여 물리적 환경이 고등어의 회유 및 어장의 형성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