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Distribution of Nemopilema nomuraiand its relationship with bottom temperature and salinity in north East China Sea and south Yellow Sea in autumn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海洋漁業 = Marine fisheries
ISSN 1004-2490,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LI, Jian-sheng,LING, Jian-zhong,CHENG, Jia-hua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2-01-01
초록 2006~2009년 가을, 중국 동해 북부 및 황해 남부에서 노무라입깃 해파리(Nemopilema nomurai)와 온도 및 염도 동시 모니터링 데이터를 근거로 가을철 노무라입깃 해파리의 자원 분포 특징과 바닥층 온도 및 염도(bottom temperature and salinity) 사이의 관계를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가을철 동해 북부와 황해 남부 노무라입깃 해파리의 고밀도 생물 분포(high bio-concentration) 구역은 3개 해역인 것으로 밝혀졌다. (1)남황해 서쪽 얕은 해역; (2)남황해 중심의 깊은 해역(32°30 rsquo;N~34°00 rsquo;N、123°00 rsquo;E~124°30 rsquo;E); (3)다사(大沙)와 양쯔강(Yangtze River, ?江) 어귀 해역. 첫 번째와 두 번째 고밀도 바이오매스(high biomass) 분포 구역은 하나의 구역으로 합치는 상황이 발생하며 두 번째 고밀도 바이오매스 구역은 해마다 형성되고 세 번째 구역은 형성되지 않는 상황도 발생한다. 바닥층 온도 및 염도 분포 특징에서 노무라입깃 해파리의 고밀도 바이오매스 구역은 주로 황해 냉수괴(cold water mass)의 변두리 혹은 냉, 온수 교차 구역에서 형성되며 교차 구역에서 더욱 쉽게 고밀도 바이오매스가 축적(accumulation)됨을 보아낼 수 있다. 온수괴(warm water mass)가 영향을 주고 있는 해역에는 바이오매스가 적고 수직으로 분포하며, 노무라입깃 해파리는 주로 수온이 상대적으로 낮고(15도 이하) 변화 폭이 작으며 염도가 중등 수준인(32.0~33.5) 30m이하 해수를 활동 구역으로 하고 있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66523834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the north East China Sea and south Yellow Sea,Nemopilema nomurai,distribution of biomass,bottom temperature and salinity,중국 동해 북부 및 황해 남부,노무라입깃 해파리,바이오매스 분포,바닥층 온도 및 염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