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最'의 어법화 연구
기관명 | NDSL |
---|---|
저널명 | 東亞人文學 |
ISSN | 1598-6888, |
ISBN |
저자(한글) | |
---|---|
저자(영문) | |
소속기관 | |
소속기관(영문) | |
출판인 | |
간행물 번호 | |
발행연도 | 2012-01-01 |
초록 | nbsp; nbsp;'軍功第一'에서 '第一'을 나타내는 '最'는 각종 사물의 순서를 표시하는 '第一'의미로 확장되고, 점차 '~의 극점에 도달하다'를 표시하는 동사 '제일'의미로 변화된다. 마지막에 '句法隱喩'、'相隣句位'의 機制영향으로 '추상정도의 최고를 나타내는 최고량'을 나타내는 정도부사로 허화한다. nbsp; nbsp;'最'는 허화機制를 통해 정도부사로 완전히 허화한 후, '最'의 어법화는 멈추지 않고 계속 진행된다. 주관화의 영향으로 상대정도부사 '最'는 점차 절대정도부사로 변화하는 과정에 있고, '最'는 형태적 접미사가 되고, 동시에 '最X'는 [±大於等於]의 '限度義'를 가지고 어휘화하는 경향을 보인다. 또 절대정도부사로 변화한 후에는 보어화와 쌍음화가 나타난다. |
원문URL |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69874820 |
첨부파일 |
과학기술표준분류 | |
---|---|
ICT 기술분류 | |
DDC 분류 | |
주제어 (키워드) | 最,最爲,最是,허화,어법화,주관화,語素,可補化,虛化,語法化,主觀化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