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정도부사 '非常'의 어법화 연구 - 《型世言》을 중심으로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東亞人文學
ISSN 1598-6888,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3-01-01
초록 nbsp; nbsp;초대 한국 교회는 우리말, 우리글 발전에 큰 공을 세웠으나 안타깝게도 오늘의 교회는 국어 발전에 아무런 도움도 주지 못하는 처지가 되고 말았다. nbsp; nbsp;한국 기독교에서 문법이나 의미론적으로 잘못된 표현을 쓰는 경우가 많은데, '죽으시다'도 그 중에 하나이다. nbsp; nbsp;성경 원문에서도 예수 그리스도의 죽음을 차별적인 단어로 표현한 예가 없으며, '죽으시다'는, 생명이 끊어질 때 쓰는 '죽다'의 존칭형으로는 쓰이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 기독교는 '죽으시다'는 표현이 신학에 맞는다는 이유를 내세워 합리화시키고 있다. '죽으시다'가 예수 그리스도의 죽음을 사실적으로 나타내 준다는 것이다 그러나 문법이나 어법에 맞지 않으면서 신학에도 맞는 경우는 찾아보기 힘들다. nbsp; nbsp;우리말에서 몇몇 용어, 즉 '말하다, 먹다, 자다, 죽다' 등은 높임말이 따로 있어서 '말씀하시다, 잡수시다, 주무시다, 돌아가시다' 등으로 표현한다.혹시 '죽으시-'형이 쓰이더라도 적격한 경우가 있는데 '형님께서 기가 죽으셨어'가 이에 해당한다. nbsp; nbsp;한국의 기독교는 지금부터라도 우리말을 바로 쓰는 일에 관심을 기울여야 하리라고 본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69909512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非常,허화,어법화,갱신,범주화,虛化,語法化,更新,範疇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