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이버시 염려와 자기효능감에 따른 SNS 이용자 유형에 관한 탐색적 연구 - 페이스북 이용자를 중심으로
기관명 | NDSL |
---|---|
저널명 | 한국언론학보 =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communication studies |
ISSN | 1229-7526, |
ISBN |
저자(한글) | 기소진,이수영 |
---|---|
저자(영문) | |
소속기관 | |
소속기관(영문) | |
출판인 | |
간행물 번호 | |
발행연도 | 2013-01-01 |
초록 | nbsp; nbsp;본 연구는 SNS의 대중화에 따라 프라이버시가 중요한 이슈로 부각되고 있는 현시점에서 SNS 이용자들이 프라이버시 염려와 자기효능감에 따라서 어떻게 유형화될 수 있고, 각 유형에 따라 프라이버시 보호 행동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탐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페이스북 이용자들을 프라이버시 염려와 자기효능감에 따라 유형화한 결과 '프라이버시 무관심형', '프라이버시 걱정형', '프라이버시 관심형'의 세 가지 유형이 도출되었다. 둘째, 이들 세 유형 간 프라이버시 보호 행동에 차이가 있는 지 살펴 본 결과 '프라이버시 관심형'이 '일반적 주의'와 '기술적 보호'에서 다른 두 유형에 비해 높은 수준의 보호 행동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프라이버시 관심형'은 게시물 관리나 그룹 설정 등 선행 연구들에서 논의되어 온 프라이버시 경계조절 전략도 사용하고 있었다. 이와 함께 프라이버시 염려는 최소한의 프라이버시 보호 행동을 유발하며, 보다 적극적인 보호 행동은 자기효능감과 관련이 있음이 발견되었다. |
원문URL |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69879801 |
첨부파일 |
과학기술표준분류 | |
---|---|
ICT 기술분류 | |
DDC 분류 | |
주제어 (키워드) | 프라이버시 염려,자기효능감,프라이버시 보호 행동,페이스북,privacy concern,self-efficacy,privacy protecting behavior,SNS(Social Network Service),Facebook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