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Regional geomagnetic short-term forecasting model based on Kriging reconstruction method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中國慣性技術學報 = Journal of Chinese Society of Inertial Technology
ISSN 1005-6734,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NIU, Chao,LIU, Dai-zhi,WANG, Yue-gang,LI, Xi-hai,YANG, Xiao-jun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4-01-01
초록 지역 지자기장의 변동에 대한 모델링 및 예측을 수행하는 것은 지자기 보조 항법, 공간 환경 검출 및 예보 등 영역의 중요한 연구 과제이다. 시간 영역에서 지자기장의 변동에 대한 단일 관측소의 예측 결과와 공간 영역에서 지역 지자기장의 변동에 대한 재구성 방법을 결합하여, 크리깅(Kriging) 재구성 방법을 기반으로 한 지역 지자기장의 변동에 대한 단기적인 예측 모델을 제시하였다. 101°E~111°E 및 30°N~40°N인 지역 범위의 지자기 관측소에서 2009년에 측정한 데이터를 실제 사례로 분석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크리깅 재구성 방법으로 재구성한 지역 지자기장 변동의 Z 성분(component)은 그 시공간(spatial-temporal) 변화 추세의 특성을 정확하고 합리적으로 보여주었다. 둘째, 단기적인 예측 과정에서 지역 모델은 지자기장 변동의 변화 추세를 세밀하게 추적할 수가 있었기에 지자기장의 변동에 대한 시공간 변화 추세의 특성을 정확하게 묘사할 수가 있었지만, 지역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관측소에서 예측한 결과는 오차가 크게 나타났다. 예측 기간이 1h, 6h, 12h 및 24h일 때, 지역 지자기장의 변동에 대한 예측 모델의 평균 절대 오차가 각각 1.67nT, 2.19nT, 2.72nT 및 3.14nT이었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39638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Kriging reconstruction,regional geomagnetic variation field,forecasting model,geomagnetic navigation,크리깅 재구성,지역 지자기장 변동,예측 모델,지자기 항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