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Expression profile of microRNAs in the cardiomyocytes derived from mouse embryonic stem cells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生理學報 = Acta physiologica Sinica
ISSN 0371-0874,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CHEN, Fei,CHEN, Zhong-yan,YANG, Huang-tian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4-01-01
초록 배아 줄기세포(embryonic stem cells, ESCs)는 자가 재생 및 다중 분화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 최근 연구하는 microRNAs(miRNAs) 조절을 포함한 전사 후 조절이 ESC 심근세포 분화(ESC-derived cardiomyocytes, ESCM)의 운명 결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ESC 분화 운명을 결정하는 miRNAs에 대한 이해가 아직 부족하다. miRNAs의 심근세포 분화에 대한 조절 작용을 한층 더 이해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전통적인 현적법(hanging drop method)을 이용하여 쥐 ESC(mouse ESCs, mESC)를 유도하여 심근세포로 분화하게 하였으며, 애질런트(Agilent) 8×15 k의 쥐 miRNAs 칩(miRbase V16.0)을 이용하여 심근세포의 고동(뛰는) 영역과 고동하지 않은 영역의 miRNAs 발현 프로파일(expression profile) 차이점을 비교하였다. 이로써 고동하지 않은 영역보다 고동 영역에서는 19개 miRNAs가 5배 이상의 발현 변화를 발생하였다(n=3, P 정량 RT-PCR을 이용하여 miRNAs 칩 중에 차이 배수가 10보다 큰 miRNAs를 추가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로써 miR-196a, miR-196b와 miR-467e는 심근세포 고동 영역(beating area)에서의 발현 풍부 정도(abundance)가 고동하지 않는 영역보다 뚜렷이 낮았다(n=3, P Target Scan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miR-196a와 miR-196b에 표적 유전자 예측을 진행한 결과, miR-196a와 miR-196b는 심근세포 분화와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낼 수 있어 ESC 분화 운명 결정에 일정한 조절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을 보여줬다. 위 결과는 miRNAs가 ESC로부터 분화된 심근세포에서의 역할을 한층 더 확인하는데 새로운 경로를 마련하였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2303930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embryonic stem cell,microRNA,cardiomyocyte,microRNA array,differentiation,쥐 배아 줄기세포,microRNA,심근세포,칩,분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