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HU, Yu-ling,YAO, Xiao-hua,REN, Hua-dong,WANG, Kai-liang,LONG, Wei |
초록 |
일반 유차 재생 시스템을 심층 최적화하고 또 외식체 생리적 변화 특징을 이해하고자, 일반 유차 '창린(Changlin) 53호'의 서로 다른 시기 배아를 선택하여 체세포배 재생 시스템의 외식체로 하였으며, 다요소 다수준의 직교 실험을 진행하여 서로 다른 나이의 배아 생리생화학적 지표를 측정하고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7, 8월은 차와 과일의 빠른 생장기이며, 이때 배아 중 수용성 단백질, 과당과 자당 함량은 점진적으로 상승하였고, 수용성 총당 함량은 쌍봉형 곡선 변화를 나타냈다. 7월27일, 미숙배 중 ABA 함량(110.13 ng·g -1 ) 및 ABA와 ZR 함량 비값(13.47)은 모두 최고에 도달하였다. 체세포배 재생 시스템 구축 과정에서, 2,4-D가 체세포배에 미치는 영향은 가장 컸으며 그 다음으로 배아 나이가 미치는 영향이 컸다. '창린 53호' 유차의 최적 체세포배 유도 방법은 차와 과일의 신속한 팽창기(7월27일)의 미숙배를 선택하여 외식체로 하는 것이며, 최적 유도 배합은 MS+0.5 mg·L -1 2,4-D+0.5 mg·L -1 KT+0.05 mg·L -1 TDZ+500 mg·L -1 Gly이다. IAA가 배상체 발아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컸으며, 배상체 발아와 조직배양 묘목 생장의 최적 배합은 MS+2 mg·L -1 IAA+0.5 mg·L -1 6-BA+0.5 mg·L -1 TDZ+500 mg·L -1 CH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