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WANG, Ling-li,JIA, Wen-jie,MA, Lu-lin,CUI, Guang-fen,WU, Li-fang,WANG, Xiang-ning,DUAN, Qing,JIANG, Ya-lian,WANG, Ji-hua |
초록 |
본 논문에서는 12개의 시장에서 유행하는 상품 품종과 2가지 야생종 백합을 실험 재료로 하여, 해당 유묘의 저온 스트레스 조건에서의 생리적 메커니즘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분산 분석(variance analysis)과 종속함수 분석법(Analysis of membership function)을 통하여 저온 스트레스를 받은 후의 유묘의 과산화물 제거효소(Superoxide Dismutase, SOD), 페록시다아제(Peroxidase, POD), 카탈라아제(Catalase, CAT), 프롤린(Proline, Pro), 상대 전기전도율(relative electric conductivity, REC), 말론알데히드(malonaldehyde, MDA)의 변화 규칙에 대하여 연구하였으며, 14가지 품종(종) 및 백합의 다양한 계열의 내한성에 대하여 종합적인 평가를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식물의 내한성 메커니즘은 복잡한 생리생화학적 과정이며, 그 내한성의 강약은 여러 가지 복잡한 요인이 제어된 결과이고 단순히 단일 요인에 의하여 결정되는 것이 아니다 . 14가지 백합 품종(종)의 내한성 크기는 순서대로 '자나(Janna)' gt; '뤄빈나(Janna)' gt; '시베리아(Siberia)' gt; '황스따이(Yellow Ween)' gt; '몽드마르상(Montde Marsan)' gt; 'L. davidii var unicolor' gt; '리갈백합(L. regale)' gt; '화이트 폭스(White Fox)' gt; '스노우퀸(Snow Queen')' gt; '로얄 썬세트(Royal Sunset)' gt; '로얄송(Royal Song)' gt; 'Ceb Glow' gt; '리옹(Lyon)' gt; '브루넬로(Brunello)' 순이다. 백합 품종(종)간 내한성은 차이가 아주 크지만 계열 내에서는 차이가 비교적 작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