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LI, Guang-hui,ZHANG, Kun,LIU, Feng-zhen,LIU, Dan-dan,WAN, Yong-shan |
초록 |
본 논문에서는 12가지 땅콩 품종을 실험 재료로 하고, 인공 물 조절 조건에서 결협기 동안 0~80cm 토층 내 상대적 함수량을 70% 및 50%으로 처리함으로써 땅콩의 내건성과 관련된 잎의 생리 생화학적 특성 및 다양한 품종 잎의 내건성 메커니즘을 연구하였다. 그 결과, 생산량 및 내건성 계수(yield drought resistance coefficient)에 근거하여 12가지 땅콩 품종의 내건성을 강, 중, 약 3개 등급으로 나누었다. 내건성이 강한 품종은 A596, Shanhua 11, Rugaoxiyangsheng 등 이었으며, 중간 정도의 내건성을 가진 품종은 Huayu 20, Nongda 818, Haihua 1, Shanhua 9 및 79266 등 이었고 내건성이 약한 품종은 ICG6848, Baisha 1016, Hua 17 및 Penglaiyiwohou 등 이었다. A596, Shanhua 11, Rugaoxiyangsheng의 내건성 메커니즘에는 강한 잎 항산화 보호능, 높은 PSⅡ 활성 및 광합성율(P n )이 있었다. Haihua 1의 잎 항산화 보호능은 강하였으며, Shanhua 9의 PSⅡ 활성은 뚜렷하게 높았다. 상관성 분석 결과, 잎사귀 P n , 기공 한계값(stomatal limitation value, L s ), 최대 광화학적 효율(F v /F m ), 광화학적 담금질 계수(q P ), 말론알데히드(malondialdehyde, MDA) 함량, 상대적 전기전도율 및 과산화물 제거효소(superoxide dismutase, SOD) 활성 등은 땅콩 품종의 내건성 계수와 뚜렷한 상관성이 있었으며, 땅콩 결협기의 중요한 생리 생화학적 특성이었다. SOD 활성의 내건성 등급은 건조 스트레스 조건에서 검증해야 하였으며, 기타 특성은 정상적인 관개 조건에서 검증할 수 있었다. Shanhua 11과 79266은 각각 땅콩의 내건성 강약을 확인하는 표준 품종으로 할 수 있었으며, Shanhua 11은 땅콩 잎의 우수한 내건성을 확인하는 표준 품종으로 할 수 있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