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aptation to Extremely High Temperature in an Alpine Environment: Systemic Thermotolerance in Arabis paniculata
기관명 | NDSL |
---|---|
저널명 | 植物分類與資源學報 = Plant diversity and resources |
ISSN | 2095-0845, |
ISBN |
저자(한글) | TANG, Ting,ZHENG, Guo-wei,LI, Wei-qi |
---|---|
저자(영문) | |
소속기관 | |
소속기관(영문) | |
출판인 | |
간행물 번호 | |
발행연도 | 2014-01-01 |
초록 | 고산 생태계의 주요 기후 특징은 온도의 변화폭이 비교적 크다. 기존의 연구는 주로 고산 식물의 내한 메커니즘에 집중되어 있으며 극단적 고온( gt;45℃)에 대한 적응성에 관하여서는 관심이 아주 적었다. 본 연구에서는 고산 식물 Arabis paniculata이 애기장대에 비해 더욱 강한 기초 내열성과 후천적 내열성이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엽록소 형광 측정 결과, 극단적 고온에서 Arabis paniculata는 더욱 안정적인 광계II와 더욱 효과적인 에너지 소모 메커니즘으로 높은 수준의 광합성 효율을 유지하였다. 전기전도율(electrical conductivity)과 말론알데히드(Malonaldehyde) 함량을 측정한 결과, Arabis paniculata의 막 손상이 더욱 적었다. 막 유동성은 지방산 사슬의 길이, 불포화도와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Arabis paniculata의 지방산은 더욱 낮은 16:3의 함량과 더욱 긴 탄소 사슬을 갖고 있고 불포화도가 뚜렷한 변화가 없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막 안정성을 유지하는데 유리할 수 있다. 또한, 더욱 높은 발현량의 HSP101과 HSP70이 Arabis paniculata에게 더욱 좋은 보호작용이 있을 수 있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 의하면, Arabis paniculata는 생리생화학적 활동에 대한 조절을 통하여 고산 환경의 극단적 고온에 적응할 수 있다. 이러한 내열전략은 저지대의 내열 식물과 비슷하였다. 그러므로 Arabis paniculata는 체계적 내열성이 있으며 식물의 내열 분자 메커니즘을 연구하는 형식 식물종으로 사용할 수 있다. |
원문URL |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1552861 |
첨부파일 |
과학기술표준분류 | |
---|---|
ICT 기술분류 | |
DDC 분류 | |
주제어 (키워드) | Alpine plants,Arabis paniculata,Thermotolerance,Photosystem,Fatty acids,Heat shock proteins,고산 식물,Arabis paniculata,내열성,광계,지방산,열 충격 단백질 |